전기용어사전
페이지 정보
작성자 베스트 작성일16-12-20 16:39 조회2,616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가극성(additive polarity)
additive polarity 단상 변압기의 극성을 나타내는 방법의 하나. 고압 전선의 단자 U 및 저압 권선의 단자 u를 접속하여 변압기에 전압을 가한 경우 V 및 v 사이의 전압이 U 및 V 사이의 전압보다 높을 때를 가극성이라고 한다. U 및 u가 외함의 대각선 상에 있다. 감극성에 대한 말
▲감극성(subtractive polarity)
subtractive polarity 단상 변압기의 극성을 표시하는 방법의 하나로, 고압 권선의 단자 U와 저압 권선의 단자 u를 접속하고 변압기에 전압을 가하면 V와 v 사이의 전압이 U와 V간의 전압보다 낮은 경우는 이것을 감극성이라고 한다. U와 u는 겉 케이스의 같은 쪽에 있다
▲건식변압기(dry type transformed)
dry type transformed 변압기의 절연과 냉각에 기름을 사용하는 방식은 기름이 가연성이기 때문에 지하 변전소, 빌딩 변전소 등 절대로 화재를 피하지 않으면 안 되는 장 소에 사용하기는 부적당하다. 이들의 변압기에는 기름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 냉 각식의 것이 사용되는 수가 많다. 이것을 건식 변압기라고 한다. 규소 수지의 발달 에 따라 상당히 높은 전압의 것, 중용량 정도의 것까지 만들 수 있게 되었다.
▲게인(gain)
영상 신호 증폭기의 이득으로 CCD 카메라에서는 감도와 관계가 있다. 이득은 dB로 표시한다.
▲게이트(gate)
gate 전기 계산기나 전자 계수 장치에서 일정한 시간만 신호의 통과를 허용할 필요성이 가 끔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것을 말한다.
▲게이트펄스(gate pulse)
gate pulse 게이트 회로에 인가되는 펄스상의 신호. 게이트 회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으로, 게이트 펄스 가 있는 기간의 입력 신호가 도래하면 출력 신호가 나타난다. 즉 게이트는 열리게 된 것이다. 반대로 게이트 펄스가 없는 기간은 입력 신호는 있어도 출력 신호는 나타나지 않고 게이트는 닫혀진 것이 된다. 대개의 경우 펄스는 구형파이기 때문에 펄스 발생기로서 플립플롭을 쓰는 경 우가 많다.
▲계기용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urrent Transformer란 어떤 전류값을 이에 비례하는 전류값으로 변성하는 계기용 변성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보통의 계기, 보호계전기 등의 정격 입력전류는 5〔A〕의 것이 많으나 근래에 개발되어 그 보급이 확산되도 있는 디지털용 계전기 등의 정격입력 전류는 1〔A〕의 것으로 제작되는 등 1차특의 대전류를 직접 계측할 수 없으므로 전류를 일정비율로 낮춰 계기의 계측이 가능하도록 하는 변성기이다.
▲계기용변성기 (instrument transformer ; meter transformer)
전류 측정 또는 전압 측정에 사용되는 변성기 . 변류기와 제기용 변압기로 구별한다
▲계기용변성기(MOF)(metering out fit)
전기계기 또는 측정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전류 및 전압의 변성용기기로서 계기용변류기(C.T)와 계기용변압기(PT)를 총칭한다. 전원설비의 공사비로보면 계기용변성기가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미미하지만 이들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여 계기용변성기를 잘못 선정하여 사용할 경우 전원설비의 중요설비들인 전력차단기, 제어설비 등이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될 수 있음
▲계기용변압기(potential transformer(Amer)
potential transformer(Amer.); vo;tagetramsformer (Eng.) 고전압을 직접 전압계로 측정하는 것은 위험하기도하고 전압계의 절연으로 보아 대단히 비 경제적이다. 그 때문에 보통 2차측을 100V로 한 변압기를 사용한다. 이 용도에 사 용하는 변압기를 계기용 변압기라고 한다·건식은 6~10kV까지의 옥내용, 유입식은 110kV까지, 그 이상을 애자형으로 한다.
▲계기용변압변류기(combined voltage current transformer[s])
combined voltage current transformer[s] ; metering outfit 변압기와 계기용 변압기를 하나로 한 것으로, 케이스 속에 조립되어 있다. 3상용 변류기에서는 2개의 변류기와 2개의 계기용 변압기 또는 1개의 3상용 계기용 변압기로 되어 있다. 적산 전력계 등과 조합하여 전력 측정을 할 때의 변성 장치로써 주로 사용된다.
▼ ㄴ
▲ top
▲내전압(withstand voltage)
(1)(고전압 시험) 명기된 상태에서의 시험 때, 전기장치가 파괴 또는 파괴방전 없이 견디는 것이 가능한 전압, (2)(전력용 변압기 및 배전용 변압기) 지정된 조건하에서 내전압시험을 했을 경우, 전기기가 절연파기 등의 이상을 발생하지 않고 견딜수 있는 전압. (3)(전력용 개폐 장치) 정해진 조건하에서 절연에 인가하여 플래시 오버나 파괴가 생기지 않고 절연 가능한 전압. (4)(가 분리 절연 커넥터) 명기된 상태하에서 플래시 오버나 파괴가 생기지 않고 절연 가능한 전압 (5) (임펄스)(전력) 시험실에서 파괴 방전이 일어나지 않고 주어진 파형, 극성, 진폭의 임펄스에 의하여 도달하는 파고치. (6)(피뢰기) 정해진 조건하에서의 내전압시험에서 시험물체에 인가되는 정해진 전압. 시험사이에 일반적으로는 어떠한 방전도 일어나서는 안된다.
▲내전압 시험(withstand voltage test)
withstand voltage test 전기 기기, 재료 등을 어떤 규정의 전압을 일정 시간 인가하여 이에 견딜 수 있는지 없는지를 살피는 시험
▲노이즈(noise)
모든 기기에 전류가 급격히 변화하면 이에 따른 전자노이즈가 발생하게 되며, 재래식 조명기기의 경우에는 주로 기동 시 과도현상에 의한 장해였으나 최근의 전자식 기기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여 고주파를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전원은 많은 장점을 가지지만 동작하는 동안 중대한 전자노이즈의 발생원인이 되고 또한 노이즈의 전자적인 작용은 전자적인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집니다. 노이즈란 전자파 장해(EMI : Electromagnetic Interference)라고 하며, 희망하는 수신신호에 간섭을 일으켜 손상을 주는 현상을 말합니다.
▲노이즈 마진(noise margin)
디지털 회로에서는 외부 노이즈에 따라서 오동작하지 않도록 허용 노이즈의 크기를 규정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는 소자의 출력 레벨과 입력 드레시홀드 레벨의 차로 정의된다. 동작 여유도라고도 한다.
노이즈 컷 트랜스포머(noise cut transformer) : 트랜스포머의 1차, 2차 사이의 정전 결합을 2중 실드와 격리에 따라서, 결합을 2중 실드와 격리에 따라서, 또 전자 결합에 대해서는 특수 철심을 사용하는 것에 따라서, 공통 모드와 노멀 모드의 고주파 노이즈를 차단한 전원용의 고성능 아이솔레이션 트랜스 포머를 말한다.
▲노이즈시뮬레이터(noise simulator)
제어 회로의 전원이 전동기 부하의 시동이나 정전 등에 의해 변동한 경우, 제어 기기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해 사용하는 서지 모양 잡음의 발생기.
▲노이즈필터(noise filter)
전선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흡수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말합니다. 종류로는 크게 능동필터와 수동필터로 구분됩니다.
- L형 필터 : 병렬, 직렬 리액턴스로 구성된 필터
- π형 필터 : 코일과 콘덴서를 π형으로 조합한 것으로서, 정류기의
평활회로 등에 널리 사용된다.
▲농형 유도 전동기(squirrel-cage induction motor)
squirrel-cage induction motor ; squirrel-cage motor 농형 회전자를 가진 유도 전동기. 권선형 유도 전동기에 비하여 기동 특성은 떨어지나 운전 특성은 좋다. 취급이 간단하고 가격이 싸다.
▲농형 전동기(squirrel-cage motor)
squirrel-cage motor ⇒농형 유도 전동기
▲농형 회전자(cage rotor ; squirrel-cage rotor)
cage rotor ; squirrel-cage rotor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의 일종. 철심의 슬롯에 나동 막대를 삽입하고 그 양단을 단락 환으로 연결 한 것. 또 구리 대신 알루미늄을 녹여 넣은 것도 있다.
▲누설손(leakage loss)
1. 절연물 등의 누설 전류에 의한 전력의 손실.
2. 누설 자속 때문에 생기는 전기에너지의 손실.
3. 송전선에서는 코로나손, 애자 속의 유전체 손 및 그 표면의 누설
전류에 의한 손실 등의 합의 손실.
▲누설전류(leakage current)
누설전류(leakage current)는 절연물의 내부 또는 표면을 통해서 흐르는 미소 전류. 전기 철도에 있어서는 가공 단선 또 제3레일식의 경우 귀선 레일에서 누설되어 대지 또는 지하 매설물을 흐르는 전류를 말합니다.
▼ ㄷ
▲ top
▲다상 계기(polyphase meter)
다상 회로에 직접 사용되는 1개의 계기. 예를 들면 3상 교류 적산 전력계 등.
▲다상교류(multiphase alternating current)
동일 주파수이고 위상각을 달리하는 많은 기전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교류.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3상교류이다.
▲다상회로(polyphase circuit)
상호 관계지어진 세 개 이상의 도체로 구성된 교류회로. 도체들의 특정 부분이 세 개 이상의 엔트리 단자에 연결되고 어떤 조직적 엔트리 단자쌍에 대하여 정상상태에서의 전압이 동일한 주기를 갖고, 진폭과 위상차가 같은 성질을 만족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속도 전동기(changespeedmotor ; muitispeed motor)
정속도 전동기의 일종으로, 그의 회전 속도를 여러 수단으로 변경할 수 있는 전동기를 말한다. 극수 전환 유도 전동기는 그의 대표적인 것이다. 2정류자형 직류 전동기는 다속도 전동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중접지(multiple earth)
1. 장파 대전력용의 송신 공중선에서 넓은 면적에 지선망을 매설하고 이의 각부를 접지선으로 접속하여 접지저항을 줄이는 방법. 즉, 1선 지락시 중성선의 전위상승을 우려하여 낮은 접지저항을 얻기 위한 방법이다. 우리 나라의 22.9 kV 3상4선식의 중성선에 채용되는데, 300 m 마다 접지를 하여 접지저항 15 Ω/km 이하가 되도록 하고 있다.
2. 장파나 중파의 접지 안테나에서는 일반적으로 방사상 접지를 하여 직류적인 접지 저항을 작게 하는 동시에 대지와의 정전 용량을 크게 한다. 이 때문에 고주파에서의 실효적인 접지 저항이 작아진다. 대형 안테나에서는 한 곳에만 접지하는 것은 불충분하며, 안테나 기부의 전류가 밀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선망을 여럿으로 구분하고, 그들에 균등하게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이것을 다중 접지라 한다. 접지 저항은 1∼2Ω 이다.
▲단권변압기(autotransformer)
각 상 1개의 연속한 권선을 가지며 그 일부가 1차 및 2차의 회로에 공통으로 되어 있는 변압기. 공통부분(분로권선)에는 1차와 2차의 양 전류의 차가 흐르기 때문에 그 부분의 도선은 단면적이 작은 것으로 된다. 보통의 변압기에 비해 동손이 감소되고 효율이 좋으며 온도상승이 저하되나 1차측에서 이상전압이 발생할 때 2차측 영향과 누설임피던스가 적은데 따른 단락고장시 단락전류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전력용에서는 승압 또는 강압시에만 사용하며, 간단한 전압변환이 필요한 곳에 많이 이용한다.
▲단락 권선(short-circuit winding)
항시 사용 상태에서 단락되어 있는 권선을 말한다. 예를 들면 유도 전동기의 농형 권선.
▲단락 시험(short-circuit test)
동기기의 단락 특성 곡선을 구하기 위한 시험. 발전기의 단자 전압 또는 변압기 2차 단자 전압을 정격 값으로 유지하고 이것을 갑자기 단락하여 그 기기의 특성을 구하기 위한 시험. 변압기의 한쪽 권선을 단락하고 다른 쪽 권선에 정격 전류를 흘리는데 족한 정격 주파수의 전압을 구하는 시험. 임피이던스 볼트, 임피이던스 와트를 구할 수 있다. 유도 전동기의 구속 시험도 일종의 단락 시험이다.
▲단락 역률(short-circuit power-factor)
예를 들면 유도 전동기의 구속 시험의 경우와 같이 단락 상태에 있어서의 역률.
▲단락 임피이던스(short-circuit impedance)
유도 전동기 또는 변압기의 단락 시험을 할 때 구해지는 임피이던스.
▲단락 전류(short-circuit current)
단락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말한다. 전압을 유기하고 있는 동기 발전기를 갑자기 단락시키면 그 순간에 큰 전류가 흐르며 그 크기는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점차로 감소하여 마침내는 일정한 값에 달한다. 이 값은 전기자 단자를 미리 단락하여 갑자기 단락되었을 경우의 여자 전류와 같은 여자 전류를 준 경우의 단락 전류, 즉 단락 특성 곡선에서 구해지는 값과 같다. 이것을 지속 단락 전류라고 한다. 이에 대하여 갑자기 단락되었을 때의 전류를 과도 단락 전류라고 한다.
▲단락 특성 곡선(short circuit characteristic curve)
동기 발전기를 정격 속도로 운전하여 그 단자를 단락시켜 두고 여자 전류를 변화한 경우에 여자 전류의 함수로서 단락 전류의 값을 나타내는 곡선을 말한다. 3상 발전기의 경우에는 3상 단락, 2선간 단락, 1상 중성점간 단락의 세가지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직선이다.
▲단락(short curcuit)
동일한 전압회로에서 절연되어 있는 충전부가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충전부와 접촉되는 것을 말하며 단락점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단락전류라 함. 단락전류는 아주 큰 전류이므로 기기를 파괴하는 등 대피가 필요함.
▲단락계전기(phase-to-phase relay)
단락계전기(短絡繼電器 : phase-to-phase relay) : 단락사고(3상단락, 2상단락 등) 검출을 목적으로 제작된 계전기를 말하며 일단의 과전류계전기 및 단락거리계전기 등이 있으며 계전기의 주된 기능을 표시하는 명칭이다.
▲단락전류(short circuit current)
1. 선로간의 단락 시 발생하는 이상전류 또는 고장전류를 말하며 변압기의 2차 선로에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큰 단락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 전류의 크기는 고장점의 퍼센트 임피던스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변압기 1차회로 및 2차회로의 임피던스를 무시하면 단락전류의 실효치 Is=(정격전류/%임피던스)×100과 같은 값을 갖게된다. 실제에 있어서는 변압기 1,2차 회로의 임피던스 때문에 단락전류는 감소되는 반면에 단락사고가 발생한 순간에는 단락전류 파고치의 약 1.8배에 달하는 직류분이 중첩되어 순간적으로나마 아주 큰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러한 단락전류에 의해 변압기 권선에는 큰 전자기계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변압기 권선에의 단락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권선의 형상, 배치뿐만 아니라 특별한 기계적인 힘에 견디도록 하여야 하는데 한전의 경우 표준규격에서는 3상 단락 시 약5초(기준전류의 14.3배 고려시)동안 견디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2. 기기의 단자 또는 전기회로가 단락되었을 때 그 단락회로에 흐르는 전류.
3. (공업용 및 상업용 전력시스템) 일반적으로 통상 연속정격의 10배를 넘는다.
4. (변압기, 정류기) 출력직류전류단자가 단락된 때와 정격교류 선전압이 전원단자에 공급될 때에 흐르는 입력교류전류의 정상치이다. 통상, 전류제한 변압기의 사용시 또는 한류 장치의 검사시에 참조된다.
단상 변압기(single phase transformer) : 단독으로 단상 전력을 변성하는 변압기.
▲단자 전압(terminal voltage)
전기 기기의 단자에 있어서의 전압.
▲대지 저항(earth resistance ; ground resistance)
대지의 어떤 2점간의 저항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대지 전위(earth potential ; ground potenial)
대지가 가지고 있는 전위. 보통은 0전위라고 생각되고 있다.
▲대지 정수(ground constant)
대지가 전파와의 여러 현상(주로 전파 전파, 공중선 지향 특성 등)에 영향을 주는 전기적 정수를 총칭하여 말한다. 대지 도전율, 대지 유전율등을 가리킨다. 대지 도전율.
▲대지 용량(earth capacity)(對地容量)
대지와 도체와의 사이에 나타나는 정전용량. 대지용량은 도체수에 따라 달라지나, 모든 도체가 동일한 전하일 때의 정전용량으로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작은 값을 가진다.
▲대지 전압(voltage to ground)
대지전압(Voltage To Ground)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력용 변압기 및 배전용 변압기 : 도체와 대지간의 전압. 주 : 비접지 계통에서 대지전압은 통상에서는 도체간에 생기는 최고전압이지만 특수상황에서는 보다 높은 전압이 발생한다,
-. 접지에 대한 전압(미국전기기준) : 접지된 회로에서는 접지된 회로의 개소나 도체에 대한 어느 도체의 전위차. 접지되지 않은 회로에서는 어느 도체와 회로 중의 다른 도체와의 전위차의 최대치
-. 접지에 대한 전압(미국전기안전기준①) : 접지된 회로에 대하여 접지된 회로부분의 접점이나 도체와 회로중의 임의의 도체와의 사이에 얻어지는 최대의 공칭전압
-. 접지에 대한 전압(미국전기안전기준②) : 접지되지 않은 회로에 대하여 회로 중 임의의 2접간에 얻을 수 있는 최대의 공칭전압
▲델타-델타결선(delta-delta connection)
변압기의 3상 결선의 한가지 방법으로 1차 권선, 2차 권선을 모두 3각형 모양으로 서로 접속하는 것.
▲동기전동기(synchronous motor)
교류 전동기의 일종으로, 전력을 기계 동력으로 변환하는 동기기를 말한다. 단, 난조 방지와 시동을 위해 계자에 제동 권선을 가지고 있다. 이것을 운전하려면 보조 전동기를 사용하든가, 자기 시동법에 의해 시동하여 동기 속도까지 가속할 필요가 있는데, 정상 운전 상태에서는 동기 속도로 회전한다. 동기 전동기는 여자의 변화에 의해 역률을 조정할 수 있고, 부하가 변화해도 동기 속도로 회전을 계속하고, 효율이 좋으므로 대용량 전동기로서 사용된다.
▲등가 회로(equivalent circuit)
1. 전 주파수 대에 걸쳐서 특성이 같은 회로망을 등가라고 하며 등가인 회로를 등가 회로망이라고 한다.
2. 어떤 회로망에 대해서 특정한 주파수 또는 주파수 범위에서 특성이 같은 회로망을 그 주파수에 있어서의 등가 회로망이라고 하며 복잡한 계산이나 해석을 할 경우 이와 같은 회로망을 사용하면 편리한 경우가 많다. 의사 회로 artifical line
3. 자기계, 역학계, 열계, 음향계 등의 과도현상 또는 진동 현상을 나타내는 미분 방정식이 전기 회로의 그것과 같은 형식이기 때문에 전기 회로에 유추하여 해석하거나 설계하거나 할 때가 있다.
이 경우에 이상과 같은 계에 등가인 전기 회로를 등가 회로라고 한다.
▼ ㄹ
▲ top
▲랜덤 노이즈(random noise)
시간 및 진폭에 있어서 그 때마다 값을 예측할 수 없는 잡음이며, 열 잡음이나 쇼트 잡음은 그 특별한 예이다.
▲리액터(reactor)
큰 리액턴스를 가지고 교류 회로에 지속하여 무효 전력을 흡수해서 전력 손실을 감소시키는 목적 또는 직류와 교류가 겹칠 경우 그 교류분에 대한 리액턴스를 목표로 하는 전기 기기.
▲리액터 접지 계통(reactor grounded neutral system)
중성점이 리액터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는 전력 계통.
▼ ㅁ
▲ top
▲몰드변압기(mold transformer)
몰드변압기는 권선을 난연성의 Epoxy 수지에 의하여 함침 또는 주형된 고체절연 방식을 채택하고있어 Epoxy 수지에 실리카 등의 무기질 충전재를 배합하든가 유리섬유의 기본재를 함침하고 있어 환경오염방지 및 난연성, 자기소화성을 가지고 있어 화재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한 변압기를 말합니다. 몰드변압기의 특징으로는
1. 경화시에 가스발생이 없고 반응 수축이 작다
2. 내약품성, 내수성, 내열성이 좋다.
3. 금속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다.
4. 권선은 자체소화성을 갖고있는 내열성 Epoxy 수지를 몰드하여 난연성이다.
5. 몰드코일 표면이 Epoxy 수지로 싸여 있으므로 노출코일 구조의 H종 건식변압기보다 감전 등에 대하여 안전하다.
6. H종 건실변압기보다 절연내력이 향상되어 장기간 방치하여도 습식 등 오손에 의한 절연성능이 변하지 않고 절연물의 경련변화도 없다.
7. 고급 방향성 규소강판의 사용과 합리적인 절연 설계로 함침실을 콤펙트화하여 무부하 손실의 저감, 저소음화 되어있다.
8. 권선을 고진공에서 몰딩하고 있기 때문에 견고하고 전자기계력, 외부기계력 및 이상 진동 등에 대하여 강한 구조로 되어있다.
9. 사용장소로는 건축전기설비, 병원, 지하상가나 주택이 근접하여 있는 공장이나 화학프렌트등의 특수공장과 같이 재해가 인명에 직접영향을 미지는 장소에 좋으며 특히 에너지절약적인 측면에서 적합하다.
10. 최근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2000년현재)
▲몰딩(molding)
활선 상태에 있는 배전선로에서 작업시에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전선을 절연할 목적으로 전선을 덮거나 감싸는데 사용하는 물건.
▲무부하 시험(no-load test)
무부하 운전에 의한 시험을 말하며 무부하손을 측정할 수 있다. 유도 전동기의 경우에는 원선도를 구하는 데 필요한 시험이며 여자 전류 및 그 위상 그리고 무부하손을 산출 할 수 있다. 변압기의 경우에는 여자 전류, 철손의 산출이 가능하다.
▲무부하 전류(no-load current)
전동기의 경우는 무부하에 있어서 정격 주파수, 정격 전압 하에 정격 속도로 운전한 경우에 선로에서 흘러 드는 전류(단, 직권성의 것을 제외). 변압기의 경우에는 2차를 개로하고 2차 전압을 정격값으로 유지하였을 때의 1차 유입 전류를 말한다.
▲무부하 전압(no-load voltage)
발전기에서 정격 상태로 운전하고 있을 때 그대로의 제자 회로의 상태에서 무부하로 하였을 때의 단자 전압. 변압기일 때는 2차측을 정격 상태가 되게 하는 1차 전압으로 유지하고 무부하로 하였을 대의 2차 단자 전압을 말한다.
▲무효 전류(reactive current;wattless current)
인가 전압과 위상이 90°다른 전류. 이 전류는 실제로 전력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무효 전력이라고 한다. (참고어) 유효 전류 active current
▼ ㅅ
▲ top
▲삼권선 변압기(three-winding transformer)
three-winding transformer 1상에 대해서 3개의 다른 독립된 권선으로 되어 있는 변압기를 말한다.
▲삼상 변압기(three-phase transformer)
단독으로 3상 교류 전력을 변성하는 변압기.
▲삼상 전동기(three-phase motor)
3상 교류전력에 의하여 동작하는 전동기.
▲삼상 정류자기(three phase commutator machine)
3상 교류 전력을 발생하는 정류자 발전기 및 3상 교류 전력에 의하여 동작하는 정류자 전동기의 총칭.
▲삼상분권전동기(three phase shunt commutator motor)
3상 고정자 권선은 직접 전원에 접속되고, 전기자 권선에는 일정한 위치에 브러시 장치가 부착되며, 브러시에는 전원에서 유도 전압 조정기 또는 변압기를 통해 전압이 공급되고 있는 정류자 전동기(전기자와 고정자는 전원에 대해 병렬 접속되어 있다). 동작은 분권 특성을 나타내고, 속도는 동기 속도의 상하로 4:1 정도 조정할 수 있다. 가변 속도의 생산 기계 운전 등에 적합하다.
▲삼상 칠선식(three-phase seven-wire system)
교류 전류 공급 시스템의 한 종류. Y-결선된 세개의 단상 변압기들의 집합으로부터 전류를 공급하여, 조명을 위한 하나의 3상 4선식 접지중성점(grounded neutral) 시스템과, 전력을 위한 고압의 3상 3선식 접지중성점 시스템(두 시스템은 중성선(neutral line)을 공유한다.)을 얻는데 사용한다.
▲삼상교류송전(three-phase ac transmission)
서로 120도의 위상차를 갖는 세개의 전압 및 이에 따르는 전류를 보내는 방식. 중성점을 연결하는 전선의 유무에 따라 3상4선식과 3상3선식으로 구별된다.
▲삼상단락고장(three phase short circuit fault)
삼상단락고장(three phase short circuit fault) : 3상회로의 abc(또는 RST) 상의 선이 모두 도체로 연결되어 있는 고장상태. 가장 가혹한 고장상태이며 평형상태를 갖는다.
▲삼상사선식(three-phase four-wire system)
4개의 도선으로 3상기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방법. 도선 가운데 1개는 중성점에, 다른 3개는 각각 3개의 상에 접속한다.
▲삼상삼선식(three-phase three-wire system)
세 개의 전선을 써서 삼상전력을 보내는 방식. 받는 전력, 최대 선간전압, 전력손실 등을 일정하게 하고 전선이 다른 방식에 비하여 절약되기 때문에 보통 송전선이나 동력선으로 배전하는 데 사용한다.
▲삽입 베이스(bayonet base;bayonet cap;swan base)
전구용 베이스의 일종. 소켓에 꽂고 작은 모서리만 회전하면 핀으로 고정되고 전기적 접촉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영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차량용 전구에 주로 쓰이고 있다.
▲삽입 소켓(bayonet socket;swan socket)
전구용 소켓의 한 종류. 꽂는 삽입베이스를 받아들여 핀과 홈으로 전구를 고정하고 전기적 접촉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삽입 플럭(attachment plug; plug cap)
전기 기구와 배선과의 접촉에 사용하는 접속기이며 전기 기구의 코오드 끝에 장치하여 콘센트에 끼워 넣는 구조의 것.
▲상(phase)
다른 부분과 기계적으로 분리되는 계면에 의해 구분되는 물질의 균질한 부분.
▲상간 격리(phase segregation)
모선, 기기 등을 각 상마다 벽, 메탈 클래드 방식 등에 의하여 완전히 격리하는 것을 말한다.
▲상간 리액터(interphase reactor)
interphase reactor 이것은 전력용 수은 정류기의 변압기 결선에 있어서 60°의 위상차를 갖는 2조의 성형 결선의 각각의 중성점 간을 잇는 중점탭이 있는 리액터를 말한다. 수은 정류기의 각 양극에는 2조의 성형 결선의 각 단자를, 음극과 리액터 중점과의 사이에는 부하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2조의 3상을 병렬로 운전한다. 이 결선을 2중 성형 6상 결선 이라고 하며 변압기의 이용률이 좋고 전압 변동률이 작으며 출력 전압의 리플이 작고 아아크 전압이 낮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12상 전류의 경우에는 상간 리액터를 3개 사용한다.
▲상간중심거리(phase spacing)
개폐기의 인접한 극(pole)들에서, 전류가 흐르는 부분의 중심선간의 거리.
상시유도잡음전압(normal inductive noise voltage) : 통신회선을 구성하는 2개의 심선간에 생기는 전압으로 잡음을 일으키며 기유도원에 포함된 고조파에 의한 것과 통신선과 대지간의 평형도가 맞지 않는 경우에 발생하는 것.
▲상시유도종전압(normal inductive noise ordinate voltage)
전력선 정상운전시 대지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통신선에 발생하는 기본파의 유도전압. 일정치 이상이 되면 통신선과 대지간에 직접 접속된 교환기나 단말기의 오동작을 일으키기기도 하고 유도전압이 커지면 통신선로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떨어짐.
▲상용 주파수(commercial frequency)
전력의 매매에 사용되는 주파수 즉 60Hz을 말한다.
▲상용주파 내전압(power frequency withstand voltage)
시험품의 양 전극간에 규정된 시간, 규정된 사용주파전압을 인가하여 파괴 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전압의 실효치
▲상용주파 유중 파괴 전압(power frequency puncter voltage oil)
절연유 중에 담긴 시험품의 양 전극간에 상용주파 전압을 인가하여 선로 파괴가 일어날 때 전압의 실효치
▲상용주파 전압에 의한 파괴방전(disruptive discharge by power frequency voltage)
전극간에 있는 기체, 액체, 고체 또는 이들의 복합 절연물이 이 사이에 인가된 상용주파 전압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전로 파괴하는 현상
▲상용주파수내전압(power frequency withstand voltage)
(서지 피뢰기에서(surge arrester))전원 주파수에서, 파열방전(disruptive discharge)을 일으키지 않는 특정한 시험 전압(test voltage)의 rms값.
상용주파수전류차단정격(power-frequency current-interrupting capacity) : 상용주파수전류차단정격(power-frequency current-interrupting capacity) : 방출형 피뢰기에서 예상되는 최대 및 최소의 고장 전류(실효값)의 범위로, 이 범위 내에서 피뢰기가 정격 조건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용주파전압(power-frequency voltage) : 주파수 15Hz∼100Hz, 파고율 1.34∼1.48 범위의 파형을 갖는 교류전압
▲상전류(phase current)
전원 또는 부하의 각 상을 흐르는 전류를 말한다.
▲상전압(phase voltage)
교류 다상식 접속에 있어서 1상의 전압을 말한다.
▲선형유도전동기(Liner Induction Moter, lim)
선형유도전동기(자기부상열차용)
▲성극비(成極比)
절연상태 측정법중의 하나인 직류고압법에서 전류의 흡수(吸收)특성을 간단히 나타내는 척도(尺度)를 말하며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성극비=전압인가 1분후의 전전류치/전압인가규정 시간(일반적으로 7∼10분) 후의 전전류치 성극비는 절연노화 판정의 자료로서 활용되며 일반적으로 건전한 케이블일수록 성극비가 크고, 누설전류가 적게 된다. 케이블의 도체와 sheath간에 일정한 직류전압이 인가될 때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전압인가직후 짧은시간에 흐르는 변위전류, 비교적 장시간 감쇠(減衰)하면서 흐르는 흡인전류 및 시간경과에 대하여 변하지 않는 감쇠전류의 3가지의 합성이다.
▲소비전력공식()
비전력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비전력(kWh)=부하용량(kW)×수량×사용시간(h)
▲손실각(loss angle)
콘덴서의 손실을 나타내는 것으로, 주파수를 F, 정전용량을 C, 손실각을 주는 등가 직렬 저항을 ρ라고하면, 손실각 δ는 tanδ= ωρC 로 주어진다.
▼ ㅇ
▲ top
▲암페어 용량(amperecapacity)
도체 또는 도선에 전류를 흘리면 도체 저항에 의해서 발열하며 그 크기는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전류가 커지면 커질수록 온도가 상승한다. 특히 장시간 연속해서 흘릴 경우에는 도제의 피복물이 소손되거나 도체가 녹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각종 전기 기기를 사용할 때에는 여기에 고장없이 안심하고 흘릴 수 있는 전류의 크기 를 그 기기의암페어 용량이라고 한다. 안전 전류 safety current 전류 용량
▲압축 공기 콘덴서(compressed-air condenser)
콘덴서의 유전체로서 공기를 3~8기압 정도로 압축시킨 것을 사용하면 내전압이 높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압축 질소 콘덴서(compressed-nitrogen condenser)
압축 질소를 봉해 넣은 콘덴서. 내전압이 높아진다.
▲애자형 변류기(porcelainclad type current transformer)
고압용 변류기로 적은 유량 또는 불연성의 합성유를 사용하고 변류기와 대지 간의 절연에 애자를 사용한 것을 말한다.
▲액체 절연물(liquid insulator)
파라핀유, 절연유와 같이 액상을 한 전기의 절연물,
▲여자(excitation)
권선에 전류를 통해서 자속을 발생시키는 것.
▲여자전류(exciting current)
전동기, 변압기 등 전자기기의 철심에서 주자속을 일으켜 흐르게 되는 전류.
▲여자계정상전압(ceiling voltage of excitation)
동기기의 여자에 있어서 동기기 단자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AVR(자동 전압 조정기)가 최대 출력을 발생했을 때 여자 장치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전압.
▲역률(power-factor)
교류 회로에서 전압의 실효값을 V, 전류의 실효값을 I, 유효 전력을 P로 하면 pf=P/(VI)를 역률이라 한다.
▲역률 개선(power-factor improvement; phase compensation)
송배전 계통의 역률 또는 유도 전동기의 역률이 지상인 경우에 이것을 역률을 1에 접근시키고 또는 진상에까지 진행시키는 것을 말한다. 송배전 계통의 경우에는 조상기, 정전 콘덴설를 유도 전동기의 경우에는 2차 여자 또는 콘덴서에 의해서 역률 개선을 한다.
▲역률 조정 계전기(power-factor regulating relay)
역률이 소정값에서 벗어났을 때 동작하는 계전기.
역률(율)((power factor) : 피상전력에 대한 유효전력의 비. 직류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구해지지만, 리액턴스 성분을 포함하는 교류 전력을 구하는 경우는 실효 전압 V와 실효 전류 I와의 곱에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 ф의 여현(cos ф)의 곱을 취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cos ф를 역률이라 한다. 따라서 교류전력(유효 전력) P는 P=VI cos ф이다. (역율은 잘못된 표기임)
▲역률개선()
기적 부하는 대부분유도성부하이므로 전류가 전압보다 위상이 상당히 뒤지는 지상역율(Lagging p.f)입니다.이와같은 현상을 역율이 낮다고 하며, 역율이 낮으면 I=P/Vcosθ의 관계식으로부터 어떤 부하에 소정의 전력을 공급하여야 할 때 동일 전압강하에서 큰 전류를 흘려야 합니다.
큰 전류가 흐르면 송전계통에서의 열손실이 많아지고, 따라서 기기의 용량이 커져야 하며, 결국 전압강하가 증가하여 전압변동율이 커집니다.
그러므로 유도성 부하에 의하여 지상전류가 흐르는 부하에 병렬로 콘덴서를 접속하여 콘덴서에 의해 발생하는 진상전류가 흐르도록하여 서로 상쇄되도록 하므로써 부하전류의 위상이 전압의 위상과 거의 일치하도록 하여 역율을 1에 가깝게 합니다. 이와 같은 것을 역율개선이라하고 역율개선은 0.9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역률개선용 콘덴서의 용량은 다음식으로 구합니다.
Qc[kVA] = P[kW]*(tanθ1 - tanθ2)
단, Qc : 콘덴서용량[kVA}
P : 부하의 유효전력[kW]
cosθ1 : 개선전의 역율
cosθ2 : 개선후의 역율
▲열화(deterioration)
부품이나 재료의 품질이나 특성이 나빠져가는 것을 말한다.
▲영위법(null method; zero method)
계기의 지시가 0이 되게 장치를 가감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천칭, 브리지, 전위 차계 등에 의한 방법이다.
▲영위법2(zero method)
전압, 전류 등을 측정하는 경우에 기지의 표준양을 준비하고, 이것과 평형을 잡음으로써 피측정량을 아는 방법. 계기의 바늘을 움직이는 방식에 비해 정밀도가 높은 계측을 할 수 있다.
▲영전위(zero potential)
전위가 없는 것을 말한다. 또 대지와 같은 전위에 있는 것을 영전위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대지 전위 earth potential
▲영점 저항(zero resistance)
가변 저항기 등에서 다이얼을 0으로 해도 단자 사이에 아주 적은 저항이 남을 때의 그 저항을 말한다. 주로 접속 저항과 도선 저항이다. 디케이드 저항 상자 등에서는 그 저항값의 교정 성적에 0점 저항을 포함할 경우와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명기하고 있으므로 정밀한 측정을 할 때에는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오옴(ohm)
전기 저항의 실용 단위로 1볼트의 전압을 가했을 때 1암페어의 전류가 흐르는 저항을 1오옴이라고 한다. 1오옴은 cgs 전자 단위의 109배에 상당한다. 국제 단위계에서는 국제 오옴이란 질량 14.4521g의 순수한 수은이 길이가 106.300㎝의 고른 절단면을 갖는 기둥 모양을 하고 있을 때 0℃에서의 직류 저항을 1오옴이라고한다.
▲오옴 저항(ohmic resistance)
저항체를 갖는 저항이 오옴의 법칙에 따라서 저항을 나타내는 경우를 말한다.
▲오옴의 법칙(ohms law)
균일한 물질로 되어 있는 도선의 두 끝 전위가 e1 및 e2 로 유지될 때 이 사이에 흐르는 정상 전류의 세기 I 는 전위차 e1 - e2에 비례한다. 이 관계를 오옴의 법칙이라고 하며 Ohm(1827년)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e1-e2=IR로 두었을 때 R을 도체의 전기저항이라고 한다.
▲온도 계수(temperature coefficient)
어떤 값의 온도 1 deg의 변화에 대한 변화 율이며 예컨대 저항률, 유전율, 점도등의 온도 1 deg의 변화에 대한 변화율은 각각 그 온도 계수로 정해진다.
▲온도 상승(temperature rise)
기기를 동작시킴으로써 주위 온도보다 상승한 온도.
▲온도 시험(heat test; temperature test)
전기 기기를 정격 상태로 운전하여 기기 각부의 온도 상승을 살피기 위한 시험. 이 온도 상승이 규정 한도를 넘지 말아야 한다. 부하 방법으로서는 실부하법, 등가 부하법 등이 있다.
▲온도 특성(temperature characteristic)
온도의 변화에 의해서 생기는 특성의 변화를 말한다. 예컨대 형광등의 광도의 온도특성, 계기 오차의 온도에 의한 변화, 또는 절연물체, 저항선 등의 저항의 온도 특성 등이 있다.
▲와전류(eddy current)
판 모양 또는 덩어리 모양을 한 도체 중에 자계의 변화에 따라서 유도되는 전류를 말한다.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푸코 전류라고도 한다.
▲와전류손(eddy-current loss)
와전류에 의한 전력 손실을 말한다. 전기 기기의 와전류손이란 철심 중에서의 전류에 의한 손실이 대부분이고 도체 중 또는 구조부의 금속부 내에 생기는 와전류손은 표유손에 포함시킨다.
▲와트(watt)
의 율(전력, 동력, 열류 등)의 실용 단위. 1초간에 1주울의 일을 하는 것을 1와트라고 한다. 103 와트를 킬로와트[KW],106 와트를 메가와트[MW], 10-3 와트를 밀리와트[mW]라고 한다.
▲와트시(watt-hour)
전력량의 실용 단위로, 와트수와 시간의 곱으로 표시된다. 예컨대 100W의 전구를 1시간 사용하면 100Wh의 전력량을 소비한 것이 된다. 또한 1J은 1Ws이므로 1Ws는 3,600J과 같다.
▲와트시 효율(watt-hour efficiency)
축전지에서 와트시 출력의 와트시 입력에 대한 비를 %로 나타낸 것. 충방전 중의 단자 전압의 평균값을 각각 E' 및 E라 하고 전류, 시간을 각각 I', t' 및 I,t라고 하면 효율은(EIt/E'I't')×100%
▲완전 접지(dead earth; dead ground)
접지 저항이 극히 낮아 저항값을 0으로 간주할 수 있는 정도의 접지를 말한다.
▲왜율(klirrfaktor)
파형이 일그러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① 고조파 성분의 실효값을, ② 기본파의 살효값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 또는 데시벨로 나타낸 것. 왜율계로 측정했을 때는 위의 ①은 기본파를 제외하는 모든 왜파(잡음 등도 포함)의 실효값이고, ②는 전체 왜파의 실효값이며, ①/②는 전 왜율이다. 왜율이 10% 이하이면 왜율계에서의 측정값을 왜율로 간주해도 상관없다.
▲외부 임피이던스(external impedance)
전기 회로에서 어떤 회로망을 중심으로 하여 생각했을 경우 그 외부에 접속된 임피이던스.
▲외부 저항(external resistance)
계기 또는 측정기에서 보아 단자의 바깥쪽에 접속되는 저항. 열전 온도계에서는 열전대, 보상 도선 및 도선 등, 또 저항 온도계에서는 도선 및 측온 저항체의 내부 도선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로 부분의 저항을 말한다.
▲외부 특성 곡선(external characteristic curve)
직류 발전기를 정격 속도로 운전하고 정격 부하 전류인 때 정격 단자 전압을 발생하도록 여자 전류를 정하고 그 여자 회로의 저항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부하 전류를 변화시켰을 때의 부하 전류와 단자 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을 말한다.
▲용량 계수(coefficient of capacity)
정전장에서 하나의 도체가 갖는 전하는 그 도체의 전위에 비례하며 그 비례 계수를 일컫는다.
▲용량성 리액턴스(capacitive reactance; condensive reactance)
교류 회로에서 정전 용량에 의해서 생기는 리액턴스를 일컫는다. 단위는 오옴[Ω]으로 표시된다. 이 때 용량을 C, 주파수를 f라고 하면 용퍙 리액턴스 XC는 1/(2πfC)=1/ωC이다. 유도 리액턴스 inductive reactance 리액턴스 reactance
▲용량성 부하(capacitive load)
용량성 리액턴스가 유도성 리액턴스보다 큰 부하를 말한다. 이 경우에는 부하게 흐르는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앞서 있으며 진전류를 형성한다. 유도성 부하 inductive load
▲위상 반전기(phase inverter)
푸시풀 증폭기를 여진하려면 그 증폭관 V1, V2의 그리드에 각각 진폭이 같고 위상이 180°다른 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있다. 보통 중간 탭이 있는 입력 변성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변성기의 2차측을 R1, R2의 저항으로 분압하여 중성점을 얻는 방법을 쓴다. 이러한 목적에 쓰이는 회로를 위상반전기라고 한다. 이밖에 그림과 같이 3극관의 플레이트 및 캐소우드 회로에 같은 값의 저항 R1=R2=R을 삽입하고 G1,G2의 전압이 서로 역위상이 되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등 여러 가지가 있다.
▲위상 변조(phase modulation)
modulation 변조 전류에 의해 반송파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을 말한다.
▲위상 보상 장치(phase compensating device)
위상을 규정값에 정확히 맞추기 위한 장치. 예컨대 교류 적산 전력계에서는 전압 자속은 전류 자속에 대해서 90°지연시키지 않으면 안되며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전압 또는 전류 철심에 단락 코일 또는 단락환을 둔다.phase compensator 주로 장하 케이블에 의한 전송로의 위상 일그러짐을 보상하는 회로망.
▲위상 조정(phase adjustment)
적산 전력계에서 전압 코일, 전류 코일의 자속간의 위상이 90°가 되게끔 조정하는 것. 그 한 방법으로서 전압 철심의 일부에 단락 권선 또는 금속환을 장치하고 세밀 조정은 단락 권선의 권수와 저항값을 가감하거나 또는 별도로 전류 철심에 감은 단락 권선으로 한다.
▲위상 조정 변압기(phase compensating transformer)
환상 계통의 전력 조류 제어의 경우에 있어서 유효 전류의 분포를 제어하기 위하여 성형 전압과 직각 위상의 조정 전압을 공급하는 변압기.
▲위상 특성 곡선(phase characteristic curve)
동기 전동기의 특성의 하나로서 정격 전압, 정격 주파수 하에 운전하고 일정한 부하에 대해서 여자 전류를 변화한 경우에 전기자 전류의 값으 여자 전류의 함수로서 나타낸 곡선을 말한다. 이 곡선은 V형을 이루고 있어 V곡선이라고 한다. 전기자 전류의 최소값의 점은 역률 1의 점이며 이보다 여자 전류가 큰 부분은 진역률, 작은 부분은 지역률의 부분이다.
▲위상 편이(phase deviation)
반송파의 위상을 변조파의 크기에 비례하여 변화시켜서 전송하는 통신 방식을 위상 변조 방식이라고 하며 이 경우의 위상의 편이를 phase deviation이라고 한다. 반송파의 위상과 최대 위상 변이와의 비를 위상 변조의 변조율이라고 한다.
▲유도 동기 전동기(synchronous induction motor)
양호한 기동 특성을 얻기 위한 특수 동기 전동기로서 회전자는 유도 전동기의 권선형 회전자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시동시는 권선형 유도 전동기로서의 양호한 시동 특성을 이용하여 동기 속도 가까이에 이르렀을 때 이 회전자에 직류 여자를 주어 동기화시켜서 동기 전동기로 사용하는 것이다.
▲유도 리액턴스(inductive reactance)
임피이던스를 복소수로 표시했을 때 Z=R+jX의 모양이면 R은 저항이고 X는 유도성 리액턴스이다. 또 Z=R-jX이면 X는 용량성 리액턴스이다.
유도 부하(inductive load) : 부하 임피이던스의 리액턴스가 +인 부하를 말한다. 이 때 부하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늦어진다.
▲유도 전류(induced current)
유도 기전력에 의해서 회로 중에 생기는 전류를 말한다. 유도 기전력 induced electro motive force; 기유도 전류 inducing current
▲유도 전압 시험(induced voltage test)
공시 기기의 권선에 적당한 주파수의 전원에 의해서 소정의 시험 전압과 같은 기전력 (또는 역기전력)을 발생시켜 주로 권선의 층간에 과전압을 가하는 시험을 말한다.
▲유도 전압 조정기(induction regulator)
변압기와 같은 원리에 의한 기기로서 입력측에 분로에 연결되는 분로 권선과 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직렬 권선을 가지며 양자의 상호 위치를 회전에 의해서 이동시키고 직렬 권선 유기 전압의 크기 또는 위상을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이에 의해서 출력측의 전압을 조정하는 전력의 상수에 따라서 단상 유도 전압 조정기 또는 3상 유도 전압 조정기라고 한다.
▲유도 절연 시험(induced insulation test)
변압기 권선에 소정의 시험 전압과 같은 기전력을 발생시켜 권선의 선간, 층간에 과전압을 가하는 시험으로서 120Hz이상의 고주파를 사용한다.
▲유도성(inductive)
전기 회로의 성질 판정에 유효한 말이며 만일 그 회로가 유도성인 경우는 지전류가 흐르고 용량성인 경우는 진전류가 흐른다고 간주되기 때문이다. 또는 공진 회로의 공진점이나 반공진점을 경계로 하여 일반적으로 그 회로의 리액턴스는 유도성에서 용량성으로 또는 용량성에서 유도성으로 전이하는 것이다.
▲유도성리액턴스(inductive reactance)
인덕터의 반기전력은 교류전류의 흐름을 방해한다. 실제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각각의 주파수에서의 전압에 비례한다고 알려져 있다. 저항이 없는 순수한 인덕터의 경우 오옴의 법칙과 같은 식이 있다. V=I X 여기서 X를 유도저항이라고 한다.
▲유전정접(tanδ)
흔히 tanδ라고 함. 유전정접은 유전체의 완전진상전류와 측정전류와의 위상차(δ)의 tan함수. 이상적인 유전체는 모두 커패시턴스 성분만을 가지게 되므로 δ는 90도가 될 것이고 따라서 tanδ는 무한히 큰 값이 나올 것임. 그런데, 유전체가 열화되면 저항성분이 나타나게 되고 δ는 90도보다 작은 값이 됨. (실제로 저항성분만 있다고 가정하면 δ는 0(ZERO)이 됩니다.) 시험은 tanδ METER로 하는데, 오실로스코프와 같은 장비로도 δ를 측정할 수 있을 것 같음.
▲유전체(dielectric)
도전율이 극히 적은 전기의 불량 도체를 일반적으로 유전체라고 한다. 따라서 변위 전류는 통하지만 도전 전류에 대해서는 높은 저항을 나타낸다. 마이카, 유리, 베이클라이트 등은 모두 유전체이며 특히 폴리스티렌이나 폴리세렌등은 초고주파 전류에 있어서도 역률이 적은 유전체로서 널리 쓰이고 있다. 절연체
▲유전체손(dielectric loss)
흡수현상을 수반하는 고체유전체에 교번전압을 인가하면 그 실효치와 동일한 직류전압을 인가할 때보다 큰 전력손실이 생기며 이것을 일반적으로 유전체손실이라 함. 이 유전체손은 쌍극자전도에 의한 흡수전류로 인한 것이며 따라서 흡수전류가 크면 유전체손도 커짐.
▲이득(gain)
증폭기, 수신기, 공중선등에서 입력의 전압 또는 전력에 대하여 출력의 전압 또는 전력의 비를 이득이라고 한다. 공중선의 경우는 표준 더블렛 공중선에 대해서 얼마나 감도가 커지는가를 나타내는 값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이 이득은 데시벨 기호로 나타내고 있다.
▲인덕턴스(inductance)
자기 인덕턴스 및 상호 인덕턴스의 총칭, 그 단위는 헨리로 표시된다. 자기 인덕턴스; 상호 인덕턴스
▲임계 저항(critical resistance)
직류분권 발전기의 계자 회로의 저항이 어떤 값 이하가 아니면 전압의 확립은 일어나지 않는다. 이 한계의 저항을 말한다. 또 직권 발전기의 경우에는 부하 회로의 저항에 대해서도 같다.
▲임계 전압(critical voltage)
피뢰기나 정류기처럼 어떤 규정 전압에서 갑자기 방전이 시작되어 동작할 경우 그 동작 개시 전압을 입계 전압이라고 한다.
▲임계 주파수(critical freqyency)
1. 지구 표면에서 연직 상쪽으로 전파를 내면서 주파수를 높여가면 주파수가 낮은 동안은 E층으로부터 반사하여 되돌아 오지만 [단, 너무 주파수가 낮으면(㎒이하)도중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반사파를 인정하지 못하게 된다] 주파수가 어떤 값을 초과하면 전파는 E층을 뚫고 나간다. 이 경계선이 되는 주파수를 E층의 임계 주파수 또 이에 해당하는 파장을 E층의 임계 파장이라 한다. 마찬가지로 F층, F1층,F2층에도 각각 임계 주파수가 존재한다. 2. 도파관은 그 단면의 크기 및 형태에 따른 어떤 주파수 이상에서는 전자파를 극히 적은 손실로 전송하며 이 이하에서는 큰 감쇠를 일으키게 된다. 이것을 차단(cut-off) 이라고 하며 이 때의 주파수를 임계 주파수, 또 이 때의 파장을 임계 파장이라고 한다.
▲임계 초과(supercritical)
증배율이 1이상이고 반응 비율이 상승하는 상태를 말한다.
▲임계전류(critical current)
외부자계가 존재하지 않는 특정온도 상태에서 초전도 물질이 정상적 상태로부터 초전도 성질을 갖게 될 때 흐르는 전류.
▼ ㅈ
▲ top
▲자기유도(magnetic induction, B)
외부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자화 정도에 대한 척도.
▲자기장의 세기(magnetic field strength, H)
외부 자기장의 세기에 대한 척도.
▲자동 위상 제어((APC)automatic phase control)
자동적으로 위상을 제어하는 회로.
▲자동 이득 조절(automatic gain control)
저주파, 중간주파. 고주파 등의 증폭기에서 그 증폭도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그 출력 전압의 일부를 초단의 증폭용 진공관의 그리드 바이어스 전압으로 궤환 시켜야 한다. 영국에서는 AVC의 의미로 쓰이고 있다. 자동 이득 제어
▲자동 전압 조정기(automatic voltage regulator)
부하 속도 등의 변동에 의한 발전기 단자 전압의 변동을 자동적으로 보상하여 정밀하고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 구비해야 할 요건은 전압 변동에 감도좋게 응동할 것, 제어 속도가 클 것, 난조 방지가 완전할 것, 제어 범위가 넓어야 할 것 등이다. 진동형, 저항기형, 무접점형으로 대별된다. AVR이라고도 한다.
▲자동이득제어(自動 利得 制御)(automatic gain control)
① 이득을 입력, 그 밖의 지정된 파라미터의 함수로써 지정된 형태대로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동작, 또는 그 방법. ② 신호의 출력 특성 진폭을 입력에 대한 그 특성의 어떤 범위에 결쳐서 변화와 관계없이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자동 조작 또는 이와 같은 동작을 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자동전압조정기(automatic voltage regulator, AVR)
자동전압조정기(AVR : automatic voltage regulator)는 교류전압의 불규칙한 전압변동을 자동적으로 조정하여 일정한 전압을 부하에 공급하게하여 전산기기 및 주변장치의 효율적인 운영과 신뢰할 수 있는 동작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장치로서 부하속도 등의 변동에 의한 발전기 단자 전압의 변동을 자동적으로 보상하여 정밀하고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입니다. 구비해야 할 요건은 전압 변동에 감도 좋게 응동할 것, 제어 속도가 클 것, 난조 방지가 완전할 것, 제어 범위가 넓어야 할 것 등이다. 진동형, 저항기형, 무접점형으로 대별됩니다.
※참고자료 [개요 및 종류]
1.개요 : 자동전압조정기(Automatic Voltage Regulator)는 입력전압 변동시에 자동적으로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부하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는 장비이다. 주로 입력전압이 불안정한 경우 변동이 없는 전원을 사용하고자 할 때 설치하며 정전보상은 되지 않는다.
2.종류 : 자동으로 전압을 조정하는 조정기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중요한 종류만 열거해 본다.
1) 기계적인 동작으로 전압을 조정하는 방식: 전압변동에 대한 응답속도가 늦어 일반 컴퓨터등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는 방식이다.
- 유도전압 조정기(Induction Voltage Regulator) I.V.R 이라고 하며 내부 모타에 의해 전압을 가변하는 방식이다.
- 스라이닥 전압 조정기(Slidac Voltage Regulator) S.V.R 이라고 하며 스라이닥의 변압기를 회전시켜 전압을 가변하는 방식이다.
2) 반도체 및 리액터를 이용하여 전압을 조정하는 방식
- 리액터 방식 : 리액터의 리액턴스를 변화하여 전압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단권 변압기의 권선비를 이용하여 강압하거나 승압하여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조정하는 방식이다.
- SCR (병렬,승압) 제어 방식: SCR의 위상제어를 이용하여 단권변압기의 리액턴스를 변화시켜 출력전압을 조정하는 방식이다.
- 철 공진 방식 : 병렬로 연결한 리액터와 공진용 캐패시터를 이용한 것으로 리액터의 공진전류 위상에 의해 입력전압 변화에 대하여 자동으로 승압효과 및 강압효과를 발생시켜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식이다.
- TAP Changing 방식 : TCR 방식이라고 하며 현재 가장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자속(magnetic flux)
자기장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자기력성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학습하였다. 이 방법은 +m[Wb]의 자극에서 공기 중에서는 (m/μ。)개의 자기력이 나오고, 일반적으로 비투자율이 (μR)인 매질 중에서는(N。=m/μ。*μR)개의 자기력선이 나오게 되므로, 1개의 자극에서 나오는 자기력선의 수는 자극의 위치와 주변 매질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은 불편을 없애기 위해 자극이 어떤 매질 중에 있더라도+m[Wb]의 자극에서는 언제나 m개의 자기력선이 나온다고 가정하여, 이 선에 의해서 자기장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자기력선을 자속 (magnetic flux, 기호 Φ; phi)이라 하고 단위로는 자극의 세기와 같은 단위인 [Wb]를 사용한다
▲자속 밀도(magnetic flux density)
자기장의 크기를 표시하기 위하여 자력선의 밀도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자속의 밀도로서 자기장의 크기를 표시하는 방법이 있다. 자속으로서 자기장의 크기 및 철의 내부 자기적인 상태를 표하기 위하여 자속의 방향에 수직인 단위 면적1[m²]를 통과하는 자속 수를 취한다.
이것을 그 점에서의 자속 밀도(magnetic flux density, 기호 B)라 한다.
단면적[m²] 를 자속Φ[Wb]가 통과하는 경우의 자속 밀도B는
B=Φ/A [Wb/m²]
단위 : [Wb/m²]또는 테슬라(tesla,[T])
▲자화(magnetization)
자성체가 자기를 띤 상태가 되는 것. 상자성체나 반자성체를 자장내에 두면 자화된다.
▲자화 곡선(magnetization curve)
자기장 H[A/m]에 대해 철심 중의 자속 밀도 B[Wb/m2]이 변화되는 상태. 즉 B-H 곡선을 말합니다.
▲자화 전류(magnetizing current)
유도 전동기 또는 변압기에서 소요의 자석이 발생함으로써 권선에 흐르는 전류를 말한다.
▲자화력(magnetizing force)
물체를 자화하는 자계의 세기이며 보통 H로 표시된다.
▲자화선(line of magnetization)
자성체가 자화되고 있을 때 자속선 밀도에 해당하는 선이 그 내부에 같은 밀도로 연속되고 있다고 간주하여 그 가상의 폐선을 자화선 이라고 한다.
▲자화율(χ, Magnetic Susceptibility)
1.자화율이란 자화강도(M)와 외부 자장강도(H)의 비례이다.
χ(chi, 발음 keye) = M/H
2.물질은 외부자장(H)에 의해 자화되는데, 물질마다 자성이 같지 않아 자화되는 정도도 같지 않다. 예로써, 상자성물질의 자화율은 χ > 0 이고 반자성물질의 자화율은 χ < 0 이다. 강자성물질의 자화율(χ)은 외부자장(H)의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자화의 사이클(cycle of magnetization)
자성체를 자화하는데 있어서 최초 자계의 세기를 증가해 나가면 자속 밀도는 어떤 곡선에 따라 증가하고 어떤 A점에 달한다. 다음에 자계의 세기를 점차 감소시키면서 0을 거쳐서 반대 방향으로 자계를 강하게 해나가면 어느 B점에 달한다. 다음에 자계를 줄여서 0을 거쳐 정방향으로 증가하면 1순환하여 A점에 돌아온다. 이것이 자화의 사이클이다.
▲자화의 세기(intensity of magnetization)
강자성체 내에서 자계의 방향으로 전향한 단위자석의 자속 밀도를 나타낸 것.
▲잔류 용량(residual capacity)
될 수 있는 한 정전 용량을 갖지 않도록 연구해서 감은 저항기 또는 인덕턴스에 남아 있는 정전 용량.
▲잔류 자기(remanence; residual magnetism)
자성체에 자계를 가해서 자화시킨 후 자계를 제거하여도 자화는 완전히 소멸되지 않고 어느 정도 남아 있다. 이 남아 있는 자화에 의한 자기를 잔류 자기라 한다.히스테리시스 현상에 기인한다. 영구 자석은 잔류 자기를 이용한 자석이다.
▲잔류 전압(residual voltage)
전기기기에 있어서 철 회로의 잔류 자기로 인하여 발생하는 전압을 말한다.
▲잔류 전하(residual electric charge)
유전체는 전계를 인가하면 분극이 생겨 분극 전하가 발생하며 인가전계를 제거하여도 모든 분극 전하가 소멸되지 않고 얼마간 남는다. 이 남는 전하를 잔류 전하라 한다.
▲저주파(low frequency)
고주파에 대하여 낮은 주파수를 일반적으로 저주파라한다. 전력(예컨대 전기로)에서는 상용 주파수를 저주파라 하고 통신부문에서는 가청 주파수를 저주파라 하는 경우가 많다.
▲저항(resistance, R)
외부 전기장에 따른 전기 전하의 이동을 저항 또는 방해하는 재료의 외인성 특성. R=ρ(L/A)로 정의된다.
▲저항-온도특성(zero-power temperrature resistance characteristic)
thermistor 자체에 주어지는 온도와 thermistor의 무부하 저항치와의 관계. 이 특성은 근사적으로 다음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R@T = R=Ro exp β(1/T - 1/To)
R@T : 절대온도 T(K)에서의 저항값,
R@To : 절대온도 To(K)에서의 저항값,
β : thermistor의 B정수,
T1, To : 절대온도(K = ℃ + 273.15)
▲전계(electric field)
대전체가 존재하는 공간 각 점의 전기적 상태를 나타내는 양을 말한다. 즉 공간의 각 점에 정지하는 단위 전하에 작용하는 힘이라고 정의되며 전계 E라는 장소에 놓여진 정지 전하 e에 작용하는 힘은 eE가 된다. 그러므로 정전계에서는 정전 포텐셜을 Φ라고 하면 E = -gradΦ 가 되어 쿨롱의 법칙에 따르는 힘의 계가 된다. 또 전자계에서는 스칼라 포텐셜 Φ와 벡터 포텐셜 A에서 E = -gradΦ-δA/δt 로 유도된다. 전계의 세기는 MKS 단위 V/m로 나타낸다.
▲전계강도(field strength)
전계 강도 및 자계 강도 또는 그 어느 쪽일 때에도 쓰는 말인데 실제에는 전계만을 생각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최근 intensity 라는 낱말을 전력 크기의 뜻으로 쓰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strength와 혼돈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전계의세기(intensity of electric field)
intensity of electric field
electric field intensity
electrice field strength
(1) 정지한 단위 전하에 작용하는 전기력을 말한다. 단위는 V/m으로 나타낸다.
(2) 전계의 크기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또 strength 라는 말은 전력의 크기를 뜻하는 데 쓰이는 일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intensity 의 뜻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를 요한다.
(3) 고찰점에 있어서의 전파의 세기를 가리키기도 한다.
전기과도현상(electric transient) : 외란을 받는 전기회로 내의 전류나 전압의 순간적인 변화 현상.
▲전류-전압특성(static volyage-current characteristic)
임의의 규정온도에서 thermistor의 전류-전압 사이의 관계. 매우 적은 전류범위에서는 thermistor의 자기발열이 작으므로 전압이 전류에 비례하여 OHM의 법칙을 따라 직선적으로 나타난다. (E = IR) 그러나 전류가 증가하게 되면 thermistor의 자기발열 현상이 발생하여 thermistor의 온도를 상승시키므로 결국 thermistor의 저항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특정 전류에서 전압이 최대값을 갖고 더 이상의 전류가 증가 하더라고 전압은 실제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한다.즉 dE/dl가 계속적으로 감소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전류-시간특성(current-time characteristic)
저항의 감소는 thermistor가 자기발열 될 정도의 충분한 전류가 가해져도 즉시 감소되지 않으며 thermistor가 등가회로상에서 여기(excitation)될때 평형 작동상태에 도달 하기전 time delay(시간지연)가 발생하게 되는 특성전류-시간 특성이라 한다.이러한 특성은 thermistor의 열방산, 열용량과 회로구성에 의존한다.
▲전류밀도(current density)
도체를 흐르는 전류 I를 그 유선에 직각 방향의 단면적 S로 나눈 I/S를 전류 밀도라고 한다. 따라서 그 단위는 [A/㎡]로 나타내어
additive polarity 단상 변압기의 극성을 나타내는 방법의 하나. 고압 전선의 단자 U 및 저압 권선의 단자 u를 접속하여 변압기에 전압을 가한 경우 V 및 v 사이의 전압이 U 및 V 사이의 전압보다 높을 때를 가극성이라고 한다. U 및 u가 외함의 대각선 상에 있다. 감극성에 대한 말
▲감극성(subtractive polarity)
subtractive polarity 단상 변압기의 극성을 표시하는 방법의 하나로, 고압 권선의 단자 U와 저압 권선의 단자 u를 접속하고 변압기에 전압을 가하면 V와 v 사이의 전압이 U와 V간의 전압보다 낮은 경우는 이것을 감극성이라고 한다. U와 u는 겉 케이스의 같은 쪽에 있다
▲건식변압기(dry type transformed)
dry type transformed 변압기의 절연과 냉각에 기름을 사용하는 방식은 기름이 가연성이기 때문에 지하 변전소, 빌딩 변전소 등 절대로 화재를 피하지 않으면 안 되는 장 소에 사용하기는 부적당하다. 이들의 변압기에는 기름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 냉 각식의 것이 사용되는 수가 많다. 이것을 건식 변압기라고 한다. 규소 수지의 발달 에 따라 상당히 높은 전압의 것, 중용량 정도의 것까지 만들 수 있게 되었다.
▲게인(gain)
영상 신호 증폭기의 이득으로 CCD 카메라에서는 감도와 관계가 있다. 이득은 dB로 표시한다.
▲게이트(gate)
gate 전기 계산기나 전자 계수 장치에서 일정한 시간만 신호의 통과를 허용할 필요성이 가 끔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것을 말한다.
▲게이트펄스(gate pulse)
gate pulse 게이트 회로에 인가되는 펄스상의 신호. 게이트 회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으로, 게이트 펄스 가 있는 기간의 입력 신호가 도래하면 출력 신호가 나타난다. 즉 게이트는 열리게 된 것이다. 반대로 게이트 펄스가 없는 기간은 입력 신호는 있어도 출력 신호는 나타나지 않고 게이트는 닫혀진 것이 된다. 대개의 경우 펄스는 구형파이기 때문에 펄스 발생기로서 플립플롭을 쓰는 경 우가 많다.
▲계기용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urrent Transformer란 어떤 전류값을 이에 비례하는 전류값으로 변성하는 계기용 변성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보통의 계기, 보호계전기 등의 정격 입력전류는 5〔A〕의 것이 많으나 근래에 개발되어 그 보급이 확산되도 있는 디지털용 계전기 등의 정격입력 전류는 1〔A〕의 것으로 제작되는 등 1차특의 대전류를 직접 계측할 수 없으므로 전류를 일정비율로 낮춰 계기의 계측이 가능하도록 하는 변성기이다.
▲계기용변성기 (instrument transformer ; meter transformer)
전류 측정 또는 전압 측정에 사용되는 변성기 . 변류기와 제기용 변압기로 구별한다
▲계기용변성기(MOF)(metering out fit)
전기계기 또는 측정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전류 및 전압의 변성용기기로서 계기용변류기(C.T)와 계기용변압기(PT)를 총칭한다. 전원설비의 공사비로보면 계기용변성기가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미미하지만 이들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여 계기용변성기를 잘못 선정하여 사용할 경우 전원설비의 중요설비들인 전력차단기, 제어설비 등이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될 수 있음
▲계기용변압기(potential transformer(Amer)
potential transformer(Amer.); vo;tagetramsformer (Eng.) 고전압을 직접 전압계로 측정하는 것은 위험하기도하고 전압계의 절연으로 보아 대단히 비 경제적이다. 그 때문에 보통 2차측을 100V로 한 변압기를 사용한다. 이 용도에 사 용하는 변압기를 계기용 변압기라고 한다·건식은 6~10kV까지의 옥내용, 유입식은 110kV까지, 그 이상을 애자형으로 한다.
▲계기용변압변류기(combined voltage current transformer[s])
combined voltage current transformer[s] ; metering outfit 변압기와 계기용 변압기를 하나로 한 것으로, 케이스 속에 조립되어 있다. 3상용 변류기에서는 2개의 변류기와 2개의 계기용 변압기 또는 1개의 3상용 계기용 변압기로 되어 있다. 적산 전력계 등과 조합하여 전력 측정을 할 때의 변성 장치로써 주로 사용된다.
▼ ㄴ
▲ top
▲내전압(withstand voltage)
(1)(고전압 시험) 명기된 상태에서의 시험 때, 전기장치가 파괴 또는 파괴방전 없이 견디는 것이 가능한 전압, (2)(전력용 변압기 및 배전용 변압기) 지정된 조건하에서 내전압시험을 했을 경우, 전기기가 절연파기 등의 이상을 발생하지 않고 견딜수 있는 전압. (3)(전력용 개폐 장치) 정해진 조건하에서 절연에 인가하여 플래시 오버나 파괴가 생기지 않고 절연 가능한 전압. (4)(가 분리 절연 커넥터) 명기된 상태하에서 플래시 오버나 파괴가 생기지 않고 절연 가능한 전압 (5) (임펄스)(전력) 시험실에서 파괴 방전이 일어나지 않고 주어진 파형, 극성, 진폭의 임펄스에 의하여 도달하는 파고치. (6)(피뢰기) 정해진 조건하에서의 내전압시험에서 시험물체에 인가되는 정해진 전압. 시험사이에 일반적으로는 어떠한 방전도 일어나서는 안된다.
▲내전압 시험(withstand voltage test)
withstand voltage test 전기 기기, 재료 등을 어떤 규정의 전압을 일정 시간 인가하여 이에 견딜 수 있는지 없는지를 살피는 시험
▲노이즈(noise)
모든 기기에 전류가 급격히 변화하면 이에 따른 전자노이즈가 발생하게 되며, 재래식 조명기기의 경우에는 주로 기동 시 과도현상에 의한 장해였으나 최근의 전자식 기기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여 고주파를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전원은 많은 장점을 가지지만 동작하는 동안 중대한 전자노이즈의 발생원인이 되고 또한 노이즈의 전자적인 작용은 전자적인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집니다. 노이즈란 전자파 장해(EMI : Electromagnetic Interference)라고 하며, 희망하는 수신신호에 간섭을 일으켜 손상을 주는 현상을 말합니다.
▲노이즈 마진(noise margin)
디지털 회로에서는 외부 노이즈에 따라서 오동작하지 않도록 허용 노이즈의 크기를 규정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는 소자의 출력 레벨과 입력 드레시홀드 레벨의 차로 정의된다. 동작 여유도라고도 한다.
노이즈 컷 트랜스포머(noise cut transformer) : 트랜스포머의 1차, 2차 사이의 정전 결합을 2중 실드와 격리에 따라서, 결합을 2중 실드와 격리에 따라서, 또 전자 결합에 대해서는 특수 철심을 사용하는 것에 따라서, 공통 모드와 노멀 모드의 고주파 노이즈를 차단한 전원용의 고성능 아이솔레이션 트랜스 포머를 말한다.
▲노이즈시뮬레이터(noise simulator)
제어 회로의 전원이 전동기 부하의 시동이나 정전 등에 의해 변동한 경우, 제어 기기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해 사용하는 서지 모양 잡음의 발생기.
▲노이즈필터(noise filter)
전선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흡수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말합니다. 종류로는 크게 능동필터와 수동필터로 구분됩니다.
- L형 필터 : 병렬, 직렬 리액턴스로 구성된 필터
- π형 필터 : 코일과 콘덴서를 π형으로 조합한 것으로서, 정류기의
평활회로 등에 널리 사용된다.
▲농형 유도 전동기(squirrel-cage induction motor)
squirrel-cage induction motor ; squirrel-cage motor 농형 회전자를 가진 유도 전동기. 권선형 유도 전동기에 비하여 기동 특성은 떨어지나 운전 특성은 좋다. 취급이 간단하고 가격이 싸다.
▲농형 전동기(squirrel-cage motor)
squirrel-cage motor ⇒농형 유도 전동기
▲농형 회전자(cage rotor ; squirrel-cage rotor)
cage rotor ; squirrel-cage rotor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의 일종. 철심의 슬롯에 나동 막대를 삽입하고 그 양단을 단락 환으로 연결 한 것. 또 구리 대신 알루미늄을 녹여 넣은 것도 있다.
▲누설손(leakage loss)
1. 절연물 등의 누설 전류에 의한 전력의 손실.
2. 누설 자속 때문에 생기는 전기에너지의 손실.
3. 송전선에서는 코로나손, 애자 속의 유전체 손 및 그 표면의 누설
전류에 의한 손실 등의 합의 손실.
▲누설전류(leakage current)
누설전류(leakage current)는 절연물의 내부 또는 표면을 통해서 흐르는 미소 전류. 전기 철도에 있어서는 가공 단선 또 제3레일식의 경우 귀선 레일에서 누설되어 대지 또는 지하 매설물을 흐르는 전류를 말합니다.
▼ ㄷ
▲ top
▲다상 계기(polyphase meter)
다상 회로에 직접 사용되는 1개의 계기. 예를 들면 3상 교류 적산 전력계 등.
▲다상교류(multiphase alternating current)
동일 주파수이고 위상각을 달리하는 많은 기전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교류.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3상교류이다.
▲다상회로(polyphase circuit)
상호 관계지어진 세 개 이상의 도체로 구성된 교류회로. 도체들의 특정 부분이 세 개 이상의 엔트리 단자에 연결되고 어떤 조직적 엔트리 단자쌍에 대하여 정상상태에서의 전압이 동일한 주기를 갖고, 진폭과 위상차가 같은 성질을 만족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속도 전동기(changespeedmotor ; muitispeed motor)
정속도 전동기의 일종으로, 그의 회전 속도를 여러 수단으로 변경할 수 있는 전동기를 말한다. 극수 전환 유도 전동기는 그의 대표적인 것이다. 2정류자형 직류 전동기는 다속도 전동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중접지(multiple earth)
1. 장파 대전력용의 송신 공중선에서 넓은 면적에 지선망을 매설하고 이의 각부를 접지선으로 접속하여 접지저항을 줄이는 방법. 즉, 1선 지락시 중성선의 전위상승을 우려하여 낮은 접지저항을 얻기 위한 방법이다. 우리 나라의 22.9 kV 3상4선식의 중성선에 채용되는데, 300 m 마다 접지를 하여 접지저항 15 Ω/km 이하가 되도록 하고 있다.
2. 장파나 중파의 접지 안테나에서는 일반적으로 방사상 접지를 하여 직류적인 접지 저항을 작게 하는 동시에 대지와의 정전 용량을 크게 한다. 이 때문에 고주파에서의 실효적인 접지 저항이 작아진다. 대형 안테나에서는 한 곳에만 접지하는 것은 불충분하며, 안테나 기부의 전류가 밀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선망을 여럿으로 구분하고, 그들에 균등하게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이것을 다중 접지라 한다. 접지 저항은 1∼2Ω 이다.
▲단권변압기(autotransformer)
각 상 1개의 연속한 권선을 가지며 그 일부가 1차 및 2차의 회로에 공통으로 되어 있는 변압기. 공통부분(분로권선)에는 1차와 2차의 양 전류의 차가 흐르기 때문에 그 부분의 도선은 단면적이 작은 것으로 된다. 보통의 변압기에 비해 동손이 감소되고 효율이 좋으며 온도상승이 저하되나 1차측에서 이상전압이 발생할 때 2차측 영향과 누설임피던스가 적은데 따른 단락고장시 단락전류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전력용에서는 승압 또는 강압시에만 사용하며, 간단한 전압변환이 필요한 곳에 많이 이용한다.
▲단락 권선(short-circuit winding)
항시 사용 상태에서 단락되어 있는 권선을 말한다. 예를 들면 유도 전동기의 농형 권선.
▲단락 시험(short-circuit test)
동기기의 단락 특성 곡선을 구하기 위한 시험. 발전기의 단자 전압 또는 변압기 2차 단자 전압을 정격 값으로 유지하고 이것을 갑자기 단락하여 그 기기의 특성을 구하기 위한 시험. 변압기의 한쪽 권선을 단락하고 다른 쪽 권선에 정격 전류를 흘리는데 족한 정격 주파수의 전압을 구하는 시험. 임피이던스 볼트, 임피이던스 와트를 구할 수 있다. 유도 전동기의 구속 시험도 일종의 단락 시험이다.
▲단락 역률(short-circuit power-factor)
예를 들면 유도 전동기의 구속 시험의 경우와 같이 단락 상태에 있어서의 역률.
▲단락 임피이던스(short-circuit impedance)
유도 전동기 또는 변압기의 단락 시험을 할 때 구해지는 임피이던스.
▲단락 전류(short-circuit current)
단락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말한다. 전압을 유기하고 있는 동기 발전기를 갑자기 단락시키면 그 순간에 큰 전류가 흐르며 그 크기는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점차로 감소하여 마침내는 일정한 값에 달한다. 이 값은 전기자 단자를 미리 단락하여 갑자기 단락되었을 경우의 여자 전류와 같은 여자 전류를 준 경우의 단락 전류, 즉 단락 특성 곡선에서 구해지는 값과 같다. 이것을 지속 단락 전류라고 한다. 이에 대하여 갑자기 단락되었을 때의 전류를 과도 단락 전류라고 한다.
▲단락 특성 곡선(short circuit characteristic curve)
동기 발전기를 정격 속도로 운전하여 그 단자를 단락시켜 두고 여자 전류를 변화한 경우에 여자 전류의 함수로서 단락 전류의 값을 나타내는 곡선을 말한다. 3상 발전기의 경우에는 3상 단락, 2선간 단락, 1상 중성점간 단락의 세가지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직선이다.
▲단락(short curcuit)
동일한 전압회로에서 절연되어 있는 충전부가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충전부와 접촉되는 것을 말하며 단락점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단락전류라 함. 단락전류는 아주 큰 전류이므로 기기를 파괴하는 등 대피가 필요함.
▲단락계전기(phase-to-phase relay)
단락계전기(短絡繼電器 : phase-to-phase relay) : 단락사고(3상단락, 2상단락 등) 검출을 목적으로 제작된 계전기를 말하며 일단의 과전류계전기 및 단락거리계전기 등이 있으며 계전기의 주된 기능을 표시하는 명칭이다.
▲단락전류(short circuit current)
1. 선로간의 단락 시 발생하는 이상전류 또는 고장전류를 말하며 변압기의 2차 선로에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큰 단락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 전류의 크기는 고장점의 퍼센트 임피던스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변압기 1차회로 및 2차회로의 임피던스를 무시하면 단락전류의 실효치 Is=(정격전류/%임피던스)×100과 같은 값을 갖게된다. 실제에 있어서는 변압기 1,2차 회로의 임피던스 때문에 단락전류는 감소되는 반면에 단락사고가 발생한 순간에는 단락전류 파고치의 약 1.8배에 달하는 직류분이 중첩되어 순간적으로나마 아주 큰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러한 단락전류에 의해 변압기 권선에는 큰 전자기계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변압기 권선에의 단락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권선의 형상, 배치뿐만 아니라 특별한 기계적인 힘에 견디도록 하여야 하는데 한전의 경우 표준규격에서는 3상 단락 시 약5초(기준전류의 14.3배 고려시)동안 견디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2. 기기의 단자 또는 전기회로가 단락되었을 때 그 단락회로에 흐르는 전류.
3. (공업용 및 상업용 전력시스템) 일반적으로 통상 연속정격의 10배를 넘는다.
4. (변압기, 정류기) 출력직류전류단자가 단락된 때와 정격교류 선전압이 전원단자에 공급될 때에 흐르는 입력교류전류의 정상치이다. 통상, 전류제한 변압기의 사용시 또는 한류 장치의 검사시에 참조된다.
단상 변압기(single phase transformer) : 단독으로 단상 전력을 변성하는 변압기.
▲단자 전압(terminal voltage)
전기 기기의 단자에 있어서의 전압.
▲대지 저항(earth resistance ; ground resistance)
대지의 어떤 2점간의 저항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대지 전위(earth potential ; ground potenial)
대지가 가지고 있는 전위. 보통은 0전위라고 생각되고 있다.
▲대지 정수(ground constant)
대지가 전파와의 여러 현상(주로 전파 전파, 공중선 지향 특성 등)에 영향을 주는 전기적 정수를 총칭하여 말한다. 대지 도전율, 대지 유전율등을 가리킨다. 대지 도전율.
▲대지 용량(earth capacity)(對地容量)
대지와 도체와의 사이에 나타나는 정전용량. 대지용량은 도체수에 따라 달라지나, 모든 도체가 동일한 전하일 때의 정전용량으로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작은 값을 가진다.
▲대지 전압(voltage to ground)
대지전압(Voltage To Ground)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력용 변압기 및 배전용 변압기 : 도체와 대지간의 전압. 주 : 비접지 계통에서 대지전압은 통상에서는 도체간에 생기는 최고전압이지만 특수상황에서는 보다 높은 전압이 발생한다,
-. 접지에 대한 전압(미국전기기준) : 접지된 회로에서는 접지된 회로의 개소나 도체에 대한 어느 도체의 전위차. 접지되지 않은 회로에서는 어느 도체와 회로 중의 다른 도체와의 전위차의 최대치
-. 접지에 대한 전압(미국전기안전기준①) : 접지된 회로에 대하여 접지된 회로부분의 접점이나 도체와 회로중의 임의의 도체와의 사이에 얻어지는 최대의 공칭전압
-. 접지에 대한 전압(미국전기안전기준②) : 접지되지 않은 회로에 대하여 회로 중 임의의 2접간에 얻을 수 있는 최대의 공칭전압
▲델타-델타결선(delta-delta connection)
변압기의 3상 결선의 한가지 방법으로 1차 권선, 2차 권선을 모두 3각형 모양으로 서로 접속하는 것.
▲동기전동기(synchronous motor)
교류 전동기의 일종으로, 전력을 기계 동력으로 변환하는 동기기를 말한다. 단, 난조 방지와 시동을 위해 계자에 제동 권선을 가지고 있다. 이것을 운전하려면 보조 전동기를 사용하든가, 자기 시동법에 의해 시동하여 동기 속도까지 가속할 필요가 있는데, 정상 운전 상태에서는 동기 속도로 회전한다. 동기 전동기는 여자의 변화에 의해 역률을 조정할 수 있고, 부하가 변화해도 동기 속도로 회전을 계속하고, 효율이 좋으므로 대용량 전동기로서 사용된다.
▲등가 회로(equivalent circuit)
1. 전 주파수 대에 걸쳐서 특성이 같은 회로망을 등가라고 하며 등가인 회로를 등가 회로망이라고 한다.
2. 어떤 회로망에 대해서 특정한 주파수 또는 주파수 범위에서 특성이 같은 회로망을 그 주파수에 있어서의 등가 회로망이라고 하며 복잡한 계산이나 해석을 할 경우 이와 같은 회로망을 사용하면 편리한 경우가 많다. 의사 회로 artifical line
3. 자기계, 역학계, 열계, 음향계 등의 과도현상 또는 진동 현상을 나타내는 미분 방정식이 전기 회로의 그것과 같은 형식이기 때문에 전기 회로에 유추하여 해석하거나 설계하거나 할 때가 있다.
이 경우에 이상과 같은 계에 등가인 전기 회로를 등가 회로라고 한다.
▼ ㄹ
▲ top
▲랜덤 노이즈(random noise)
시간 및 진폭에 있어서 그 때마다 값을 예측할 수 없는 잡음이며, 열 잡음이나 쇼트 잡음은 그 특별한 예이다.
▲리액터(reactor)
큰 리액턴스를 가지고 교류 회로에 지속하여 무효 전력을 흡수해서 전력 손실을 감소시키는 목적 또는 직류와 교류가 겹칠 경우 그 교류분에 대한 리액턴스를 목표로 하는 전기 기기.
▲리액터 접지 계통(reactor grounded neutral system)
중성점이 리액터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는 전력 계통.
▼ ㅁ
▲ top
▲몰드변압기(mold transformer)
몰드변압기는 권선을 난연성의 Epoxy 수지에 의하여 함침 또는 주형된 고체절연 방식을 채택하고있어 Epoxy 수지에 실리카 등의 무기질 충전재를 배합하든가 유리섬유의 기본재를 함침하고 있어 환경오염방지 및 난연성, 자기소화성을 가지고 있어 화재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한 변압기를 말합니다. 몰드변압기의 특징으로는
1. 경화시에 가스발생이 없고 반응 수축이 작다
2. 내약품성, 내수성, 내열성이 좋다.
3. 금속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다.
4. 권선은 자체소화성을 갖고있는 내열성 Epoxy 수지를 몰드하여 난연성이다.
5. 몰드코일 표면이 Epoxy 수지로 싸여 있으므로 노출코일 구조의 H종 건식변압기보다 감전 등에 대하여 안전하다.
6. H종 건실변압기보다 절연내력이 향상되어 장기간 방치하여도 습식 등 오손에 의한 절연성능이 변하지 않고 절연물의 경련변화도 없다.
7. 고급 방향성 규소강판의 사용과 합리적인 절연 설계로 함침실을 콤펙트화하여 무부하 손실의 저감, 저소음화 되어있다.
8. 권선을 고진공에서 몰딩하고 있기 때문에 견고하고 전자기계력, 외부기계력 및 이상 진동 등에 대하여 강한 구조로 되어있다.
9. 사용장소로는 건축전기설비, 병원, 지하상가나 주택이 근접하여 있는 공장이나 화학프렌트등의 특수공장과 같이 재해가 인명에 직접영향을 미지는 장소에 좋으며 특히 에너지절약적인 측면에서 적합하다.
10. 최근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2000년현재)
▲몰딩(molding)
활선 상태에 있는 배전선로에서 작업시에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전선을 절연할 목적으로 전선을 덮거나 감싸는데 사용하는 물건.
▲무부하 시험(no-load test)
무부하 운전에 의한 시험을 말하며 무부하손을 측정할 수 있다. 유도 전동기의 경우에는 원선도를 구하는 데 필요한 시험이며 여자 전류 및 그 위상 그리고 무부하손을 산출 할 수 있다. 변압기의 경우에는 여자 전류, 철손의 산출이 가능하다.
▲무부하 전류(no-load current)
전동기의 경우는 무부하에 있어서 정격 주파수, 정격 전압 하에 정격 속도로 운전한 경우에 선로에서 흘러 드는 전류(단, 직권성의 것을 제외). 변압기의 경우에는 2차를 개로하고 2차 전압을 정격값으로 유지하였을 때의 1차 유입 전류를 말한다.
▲무부하 전압(no-load voltage)
발전기에서 정격 상태로 운전하고 있을 때 그대로의 제자 회로의 상태에서 무부하로 하였을 때의 단자 전압. 변압기일 때는 2차측을 정격 상태가 되게 하는 1차 전압으로 유지하고 무부하로 하였을 대의 2차 단자 전압을 말한다.
▲무효 전류(reactive current;wattless current)
인가 전압과 위상이 90°다른 전류. 이 전류는 실제로 전력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무효 전력이라고 한다. (참고어) 유효 전류 active current
▼ ㅅ
▲ top
▲삼권선 변압기(three-winding transformer)
three-winding transformer 1상에 대해서 3개의 다른 독립된 권선으로 되어 있는 변압기를 말한다.
▲삼상 변압기(three-phase transformer)
단독으로 3상 교류 전력을 변성하는 변압기.
▲삼상 전동기(three-phase motor)
3상 교류전력에 의하여 동작하는 전동기.
▲삼상 정류자기(three phase commutator machine)
3상 교류 전력을 발생하는 정류자 발전기 및 3상 교류 전력에 의하여 동작하는 정류자 전동기의 총칭.
▲삼상분권전동기(three phase shunt commutator motor)
3상 고정자 권선은 직접 전원에 접속되고, 전기자 권선에는 일정한 위치에 브러시 장치가 부착되며, 브러시에는 전원에서 유도 전압 조정기 또는 변압기를 통해 전압이 공급되고 있는 정류자 전동기(전기자와 고정자는 전원에 대해 병렬 접속되어 있다). 동작은 분권 특성을 나타내고, 속도는 동기 속도의 상하로 4:1 정도 조정할 수 있다. 가변 속도의 생산 기계 운전 등에 적합하다.
▲삼상 칠선식(three-phase seven-wire system)
교류 전류 공급 시스템의 한 종류. Y-결선된 세개의 단상 변압기들의 집합으로부터 전류를 공급하여, 조명을 위한 하나의 3상 4선식 접지중성점(grounded neutral) 시스템과, 전력을 위한 고압의 3상 3선식 접지중성점 시스템(두 시스템은 중성선(neutral line)을 공유한다.)을 얻는데 사용한다.
▲삼상교류송전(three-phase ac transmission)
서로 120도의 위상차를 갖는 세개의 전압 및 이에 따르는 전류를 보내는 방식. 중성점을 연결하는 전선의 유무에 따라 3상4선식과 3상3선식으로 구별된다.
▲삼상단락고장(three phase short circuit fault)
삼상단락고장(three phase short circuit fault) : 3상회로의 abc(또는 RST) 상의 선이 모두 도체로 연결되어 있는 고장상태. 가장 가혹한 고장상태이며 평형상태를 갖는다.
▲삼상사선식(three-phase four-wire system)
4개의 도선으로 3상기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방법. 도선 가운데 1개는 중성점에, 다른 3개는 각각 3개의 상에 접속한다.
▲삼상삼선식(three-phase three-wire system)
세 개의 전선을 써서 삼상전력을 보내는 방식. 받는 전력, 최대 선간전압, 전력손실 등을 일정하게 하고 전선이 다른 방식에 비하여 절약되기 때문에 보통 송전선이나 동력선으로 배전하는 데 사용한다.
▲삽입 베이스(bayonet base;bayonet cap;swan base)
전구용 베이스의 일종. 소켓에 꽂고 작은 모서리만 회전하면 핀으로 고정되고 전기적 접촉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영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차량용 전구에 주로 쓰이고 있다.
▲삽입 소켓(bayonet socket;swan socket)
전구용 소켓의 한 종류. 꽂는 삽입베이스를 받아들여 핀과 홈으로 전구를 고정하고 전기적 접촉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삽입 플럭(attachment plug; plug cap)
전기 기구와 배선과의 접촉에 사용하는 접속기이며 전기 기구의 코오드 끝에 장치하여 콘센트에 끼워 넣는 구조의 것.
▲상(phase)
다른 부분과 기계적으로 분리되는 계면에 의해 구분되는 물질의 균질한 부분.
▲상간 격리(phase segregation)
모선, 기기 등을 각 상마다 벽, 메탈 클래드 방식 등에 의하여 완전히 격리하는 것을 말한다.
▲상간 리액터(interphase reactor)
interphase reactor 이것은 전력용 수은 정류기의 변압기 결선에 있어서 60°의 위상차를 갖는 2조의 성형 결선의 각각의 중성점 간을 잇는 중점탭이 있는 리액터를 말한다. 수은 정류기의 각 양극에는 2조의 성형 결선의 각 단자를, 음극과 리액터 중점과의 사이에는 부하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2조의 3상을 병렬로 운전한다. 이 결선을 2중 성형 6상 결선 이라고 하며 변압기의 이용률이 좋고 전압 변동률이 작으며 출력 전압의 리플이 작고 아아크 전압이 낮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12상 전류의 경우에는 상간 리액터를 3개 사용한다.
▲상간중심거리(phase spacing)
개폐기의 인접한 극(pole)들에서, 전류가 흐르는 부분의 중심선간의 거리.
상시유도잡음전압(normal inductive noise voltage) : 통신회선을 구성하는 2개의 심선간에 생기는 전압으로 잡음을 일으키며 기유도원에 포함된 고조파에 의한 것과 통신선과 대지간의 평형도가 맞지 않는 경우에 발생하는 것.
▲상시유도종전압(normal inductive noise ordinate voltage)
전력선 정상운전시 대지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통신선에 발생하는 기본파의 유도전압. 일정치 이상이 되면 통신선과 대지간에 직접 접속된 교환기나 단말기의 오동작을 일으키기기도 하고 유도전압이 커지면 통신선로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떨어짐.
▲상용 주파수(commercial frequency)
전력의 매매에 사용되는 주파수 즉 60Hz을 말한다.
▲상용주파 내전압(power frequency withstand voltage)
시험품의 양 전극간에 규정된 시간, 규정된 사용주파전압을 인가하여 파괴 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전압의 실효치
▲상용주파 유중 파괴 전압(power frequency puncter voltage oil)
절연유 중에 담긴 시험품의 양 전극간에 상용주파 전압을 인가하여 선로 파괴가 일어날 때 전압의 실효치
▲상용주파 전압에 의한 파괴방전(disruptive discharge by power frequency voltage)
전극간에 있는 기체, 액체, 고체 또는 이들의 복합 절연물이 이 사이에 인가된 상용주파 전압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전로 파괴하는 현상
▲상용주파수내전압(power frequency withstand voltage)
(서지 피뢰기에서(surge arrester))전원 주파수에서, 파열방전(disruptive discharge)을 일으키지 않는 특정한 시험 전압(test voltage)의 rms값.
상용주파수전류차단정격(power-frequency current-interrupting capacity) : 상용주파수전류차단정격(power-frequency current-interrupting capacity) : 방출형 피뢰기에서 예상되는 최대 및 최소의 고장 전류(실효값)의 범위로, 이 범위 내에서 피뢰기가 정격 조건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용주파전압(power-frequency voltage) : 주파수 15Hz∼100Hz, 파고율 1.34∼1.48 범위의 파형을 갖는 교류전압
▲상전류(phase current)
전원 또는 부하의 각 상을 흐르는 전류를 말한다.
▲상전압(phase voltage)
교류 다상식 접속에 있어서 1상의 전압을 말한다.
▲선형유도전동기(Liner Induction Moter, lim)
선형유도전동기(자기부상열차용)
▲성극비(成極比)
절연상태 측정법중의 하나인 직류고압법에서 전류의 흡수(吸收)특성을 간단히 나타내는 척도(尺度)를 말하며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성극비=전압인가 1분후의 전전류치/전압인가규정 시간(일반적으로 7∼10분) 후의 전전류치 성극비는 절연노화 판정의 자료로서 활용되며 일반적으로 건전한 케이블일수록 성극비가 크고, 누설전류가 적게 된다. 케이블의 도체와 sheath간에 일정한 직류전압이 인가될 때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전압인가직후 짧은시간에 흐르는 변위전류, 비교적 장시간 감쇠(減衰)하면서 흐르는 흡인전류 및 시간경과에 대하여 변하지 않는 감쇠전류의 3가지의 합성이다.
▲소비전력공식()
비전력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비전력(kWh)=부하용량(kW)×수량×사용시간(h)
▲손실각(loss angle)
콘덴서의 손실을 나타내는 것으로, 주파수를 F, 정전용량을 C, 손실각을 주는 등가 직렬 저항을 ρ라고하면, 손실각 δ는 tanδ= ωρC 로 주어진다.
▼ ㅇ
▲ top
▲암페어 용량(amperecapacity)
도체 또는 도선에 전류를 흘리면 도체 저항에 의해서 발열하며 그 크기는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전류가 커지면 커질수록 온도가 상승한다. 특히 장시간 연속해서 흘릴 경우에는 도제의 피복물이 소손되거나 도체가 녹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각종 전기 기기를 사용할 때에는 여기에 고장없이 안심하고 흘릴 수 있는 전류의 크기 를 그 기기의암페어 용량이라고 한다. 안전 전류 safety current 전류 용량
▲압축 공기 콘덴서(compressed-air condenser)
콘덴서의 유전체로서 공기를 3~8기압 정도로 압축시킨 것을 사용하면 내전압이 높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압축 질소 콘덴서(compressed-nitrogen condenser)
압축 질소를 봉해 넣은 콘덴서. 내전압이 높아진다.
▲애자형 변류기(porcelainclad type current transformer)
고압용 변류기로 적은 유량 또는 불연성의 합성유를 사용하고 변류기와 대지 간의 절연에 애자를 사용한 것을 말한다.
▲액체 절연물(liquid insulator)
파라핀유, 절연유와 같이 액상을 한 전기의 절연물,
▲여자(excitation)
권선에 전류를 통해서 자속을 발생시키는 것.
▲여자전류(exciting current)
전동기, 변압기 등 전자기기의 철심에서 주자속을 일으켜 흐르게 되는 전류.
▲여자계정상전압(ceiling voltage of excitation)
동기기의 여자에 있어서 동기기 단자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AVR(자동 전압 조정기)가 최대 출력을 발생했을 때 여자 장치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전압.
▲역률(power-factor)
교류 회로에서 전압의 실효값을 V, 전류의 실효값을 I, 유효 전력을 P로 하면 pf=P/(VI)를 역률이라 한다.
▲역률 개선(power-factor improvement; phase compensation)
송배전 계통의 역률 또는 유도 전동기의 역률이 지상인 경우에 이것을 역률을 1에 접근시키고 또는 진상에까지 진행시키는 것을 말한다. 송배전 계통의 경우에는 조상기, 정전 콘덴설를 유도 전동기의 경우에는 2차 여자 또는 콘덴서에 의해서 역률 개선을 한다.
▲역률 조정 계전기(power-factor regulating relay)
역률이 소정값에서 벗어났을 때 동작하는 계전기.
역률(율)((power factor) : 피상전력에 대한 유효전력의 비. 직류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구해지지만, 리액턴스 성분을 포함하는 교류 전력을 구하는 경우는 실효 전압 V와 실효 전류 I와의 곱에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 ф의 여현(cos ф)의 곱을 취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cos ф를 역률이라 한다. 따라서 교류전력(유효 전력) P는 P=VI cos ф이다. (역율은 잘못된 표기임)
▲역률개선()
기적 부하는 대부분유도성부하이므로 전류가 전압보다 위상이 상당히 뒤지는 지상역율(Lagging p.f)입니다.이와같은 현상을 역율이 낮다고 하며, 역율이 낮으면 I=P/Vcosθ의 관계식으로부터 어떤 부하에 소정의 전력을 공급하여야 할 때 동일 전압강하에서 큰 전류를 흘려야 합니다.
큰 전류가 흐르면 송전계통에서의 열손실이 많아지고, 따라서 기기의 용량이 커져야 하며, 결국 전압강하가 증가하여 전압변동율이 커집니다.
그러므로 유도성 부하에 의하여 지상전류가 흐르는 부하에 병렬로 콘덴서를 접속하여 콘덴서에 의해 발생하는 진상전류가 흐르도록하여 서로 상쇄되도록 하므로써 부하전류의 위상이 전압의 위상과 거의 일치하도록 하여 역율을 1에 가깝게 합니다. 이와 같은 것을 역율개선이라하고 역율개선은 0.9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역률개선용 콘덴서의 용량은 다음식으로 구합니다.
Qc[kVA] = P[kW]*(tanθ1 - tanθ2)
단, Qc : 콘덴서용량[kVA}
P : 부하의 유효전력[kW]
cosθ1 : 개선전의 역율
cosθ2 : 개선후의 역율
▲열화(deterioration)
부품이나 재료의 품질이나 특성이 나빠져가는 것을 말한다.
▲영위법(null method; zero method)
계기의 지시가 0이 되게 장치를 가감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천칭, 브리지, 전위 차계 등에 의한 방법이다.
▲영위법2(zero method)
전압, 전류 등을 측정하는 경우에 기지의 표준양을 준비하고, 이것과 평형을 잡음으로써 피측정량을 아는 방법. 계기의 바늘을 움직이는 방식에 비해 정밀도가 높은 계측을 할 수 있다.
▲영전위(zero potential)
전위가 없는 것을 말한다. 또 대지와 같은 전위에 있는 것을 영전위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대지 전위 earth potential
▲영점 저항(zero resistance)
가변 저항기 등에서 다이얼을 0으로 해도 단자 사이에 아주 적은 저항이 남을 때의 그 저항을 말한다. 주로 접속 저항과 도선 저항이다. 디케이드 저항 상자 등에서는 그 저항값의 교정 성적에 0점 저항을 포함할 경우와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명기하고 있으므로 정밀한 측정을 할 때에는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오옴(ohm)
전기 저항의 실용 단위로 1볼트의 전압을 가했을 때 1암페어의 전류가 흐르는 저항을 1오옴이라고 한다. 1오옴은 cgs 전자 단위의 109배에 상당한다. 국제 단위계에서는 국제 오옴이란 질량 14.4521g의 순수한 수은이 길이가 106.300㎝의 고른 절단면을 갖는 기둥 모양을 하고 있을 때 0℃에서의 직류 저항을 1오옴이라고한다.
▲오옴 저항(ohmic resistance)
저항체를 갖는 저항이 오옴의 법칙에 따라서 저항을 나타내는 경우를 말한다.
▲오옴의 법칙(ohms law)
균일한 물질로 되어 있는 도선의 두 끝 전위가 e1 및 e2 로 유지될 때 이 사이에 흐르는 정상 전류의 세기 I 는 전위차 e1 - e2에 비례한다. 이 관계를 오옴의 법칙이라고 하며 Ohm(1827년)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e1-e2=IR로 두었을 때 R을 도체의 전기저항이라고 한다.
▲온도 계수(temperature coefficient)
어떤 값의 온도 1 deg의 변화에 대한 변화 율이며 예컨대 저항률, 유전율, 점도등의 온도 1 deg의 변화에 대한 변화율은 각각 그 온도 계수로 정해진다.
▲온도 상승(temperature rise)
기기를 동작시킴으로써 주위 온도보다 상승한 온도.
▲온도 시험(heat test; temperature test)
전기 기기를 정격 상태로 운전하여 기기 각부의 온도 상승을 살피기 위한 시험. 이 온도 상승이 규정 한도를 넘지 말아야 한다. 부하 방법으로서는 실부하법, 등가 부하법 등이 있다.
▲온도 특성(temperature characteristic)
온도의 변화에 의해서 생기는 특성의 변화를 말한다. 예컨대 형광등의 광도의 온도특성, 계기 오차의 온도에 의한 변화, 또는 절연물체, 저항선 등의 저항의 온도 특성 등이 있다.
▲와전류(eddy current)
판 모양 또는 덩어리 모양을 한 도체 중에 자계의 변화에 따라서 유도되는 전류를 말한다.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푸코 전류라고도 한다.
▲와전류손(eddy-current loss)
와전류에 의한 전력 손실을 말한다. 전기 기기의 와전류손이란 철심 중에서의 전류에 의한 손실이 대부분이고 도체 중 또는 구조부의 금속부 내에 생기는 와전류손은 표유손에 포함시킨다.
▲와트(watt)
의 율(전력, 동력, 열류 등)의 실용 단위. 1초간에 1주울의 일을 하는 것을 1와트라고 한다. 103 와트를 킬로와트[KW],106 와트를 메가와트[MW], 10-3 와트를 밀리와트[mW]라고 한다.
▲와트시(watt-hour)
전력량의 실용 단위로, 와트수와 시간의 곱으로 표시된다. 예컨대 100W의 전구를 1시간 사용하면 100Wh의 전력량을 소비한 것이 된다. 또한 1J은 1Ws이므로 1Ws는 3,600J과 같다.
▲와트시 효율(watt-hour efficiency)
축전지에서 와트시 출력의 와트시 입력에 대한 비를 %로 나타낸 것. 충방전 중의 단자 전압의 평균값을 각각 E' 및 E라 하고 전류, 시간을 각각 I', t' 및 I,t라고 하면 효율은(EIt/E'I't')×100%
▲완전 접지(dead earth; dead ground)
접지 저항이 극히 낮아 저항값을 0으로 간주할 수 있는 정도의 접지를 말한다.
▲왜율(klirrfaktor)
파형이 일그러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① 고조파 성분의 실효값을, ② 기본파의 살효값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 또는 데시벨로 나타낸 것. 왜율계로 측정했을 때는 위의 ①은 기본파를 제외하는 모든 왜파(잡음 등도 포함)의 실효값이고, ②는 전체 왜파의 실효값이며, ①/②는 전 왜율이다. 왜율이 10% 이하이면 왜율계에서의 측정값을 왜율로 간주해도 상관없다.
▲외부 임피이던스(external impedance)
전기 회로에서 어떤 회로망을 중심으로 하여 생각했을 경우 그 외부에 접속된 임피이던스.
▲외부 저항(external resistance)
계기 또는 측정기에서 보아 단자의 바깥쪽에 접속되는 저항. 열전 온도계에서는 열전대, 보상 도선 및 도선 등, 또 저항 온도계에서는 도선 및 측온 저항체의 내부 도선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로 부분의 저항을 말한다.
▲외부 특성 곡선(external characteristic curve)
직류 발전기를 정격 속도로 운전하고 정격 부하 전류인 때 정격 단자 전압을 발생하도록 여자 전류를 정하고 그 여자 회로의 저항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부하 전류를 변화시켰을 때의 부하 전류와 단자 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을 말한다.
▲용량 계수(coefficient of capacity)
정전장에서 하나의 도체가 갖는 전하는 그 도체의 전위에 비례하며 그 비례 계수를 일컫는다.
▲용량성 리액턴스(capacitive reactance; condensive reactance)
교류 회로에서 정전 용량에 의해서 생기는 리액턴스를 일컫는다. 단위는 오옴[Ω]으로 표시된다. 이 때 용량을 C, 주파수를 f라고 하면 용퍙 리액턴스 XC는 1/(2πfC)=1/ωC이다. 유도 리액턴스 inductive reactance 리액턴스 reactance
▲용량성 부하(capacitive load)
용량성 리액턴스가 유도성 리액턴스보다 큰 부하를 말한다. 이 경우에는 부하게 흐르는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앞서 있으며 진전류를 형성한다. 유도성 부하 inductive load
▲위상 반전기(phase inverter)
푸시풀 증폭기를 여진하려면 그 증폭관 V1, V2의 그리드에 각각 진폭이 같고 위상이 180°다른 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있다. 보통 중간 탭이 있는 입력 변성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변성기의 2차측을 R1, R2의 저항으로 분압하여 중성점을 얻는 방법을 쓴다. 이러한 목적에 쓰이는 회로를 위상반전기라고 한다. 이밖에 그림과 같이 3극관의 플레이트 및 캐소우드 회로에 같은 값의 저항 R1=R2=R을 삽입하고 G1,G2의 전압이 서로 역위상이 되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등 여러 가지가 있다.
▲위상 변조(phase modulation)
modulation 변조 전류에 의해 반송파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을 말한다.
▲위상 보상 장치(phase compensating device)
위상을 규정값에 정확히 맞추기 위한 장치. 예컨대 교류 적산 전력계에서는 전압 자속은 전류 자속에 대해서 90°지연시키지 않으면 안되며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전압 또는 전류 철심에 단락 코일 또는 단락환을 둔다.phase compensator 주로 장하 케이블에 의한 전송로의 위상 일그러짐을 보상하는 회로망.
▲위상 조정(phase adjustment)
적산 전력계에서 전압 코일, 전류 코일의 자속간의 위상이 90°가 되게끔 조정하는 것. 그 한 방법으로서 전압 철심의 일부에 단락 권선 또는 금속환을 장치하고 세밀 조정은 단락 권선의 권수와 저항값을 가감하거나 또는 별도로 전류 철심에 감은 단락 권선으로 한다.
▲위상 조정 변압기(phase compensating transformer)
환상 계통의 전력 조류 제어의 경우에 있어서 유효 전류의 분포를 제어하기 위하여 성형 전압과 직각 위상의 조정 전압을 공급하는 변압기.
▲위상 특성 곡선(phase characteristic curve)
동기 전동기의 특성의 하나로서 정격 전압, 정격 주파수 하에 운전하고 일정한 부하에 대해서 여자 전류를 변화한 경우에 전기자 전류의 값으 여자 전류의 함수로서 나타낸 곡선을 말한다. 이 곡선은 V형을 이루고 있어 V곡선이라고 한다. 전기자 전류의 최소값의 점은 역률 1의 점이며 이보다 여자 전류가 큰 부분은 진역률, 작은 부분은 지역률의 부분이다.
▲위상 편이(phase deviation)
반송파의 위상을 변조파의 크기에 비례하여 변화시켜서 전송하는 통신 방식을 위상 변조 방식이라고 하며 이 경우의 위상의 편이를 phase deviation이라고 한다. 반송파의 위상과 최대 위상 변이와의 비를 위상 변조의 변조율이라고 한다.
▲유도 동기 전동기(synchronous induction motor)
양호한 기동 특성을 얻기 위한 특수 동기 전동기로서 회전자는 유도 전동기의 권선형 회전자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시동시는 권선형 유도 전동기로서의 양호한 시동 특성을 이용하여 동기 속도 가까이에 이르렀을 때 이 회전자에 직류 여자를 주어 동기화시켜서 동기 전동기로 사용하는 것이다.
▲유도 리액턴스(inductive reactance)
임피이던스를 복소수로 표시했을 때 Z=R+jX의 모양이면 R은 저항이고 X는 유도성 리액턴스이다. 또 Z=R-jX이면 X는 용량성 리액턴스이다.
유도 부하(inductive load) : 부하 임피이던스의 리액턴스가 +인 부하를 말한다. 이 때 부하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늦어진다.
▲유도 전류(induced current)
유도 기전력에 의해서 회로 중에 생기는 전류를 말한다. 유도 기전력 induced electro motive force; 기유도 전류 inducing current
▲유도 전압 시험(induced voltage test)
공시 기기의 권선에 적당한 주파수의 전원에 의해서 소정의 시험 전압과 같은 기전력 (또는 역기전력)을 발생시켜 주로 권선의 층간에 과전압을 가하는 시험을 말한다.
▲유도 전압 조정기(induction regulator)
변압기와 같은 원리에 의한 기기로서 입력측에 분로에 연결되는 분로 권선과 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직렬 권선을 가지며 양자의 상호 위치를 회전에 의해서 이동시키고 직렬 권선 유기 전압의 크기 또는 위상을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이에 의해서 출력측의 전압을 조정하는 전력의 상수에 따라서 단상 유도 전압 조정기 또는 3상 유도 전압 조정기라고 한다.
▲유도 절연 시험(induced insulation test)
변압기 권선에 소정의 시험 전압과 같은 기전력을 발생시켜 권선의 선간, 층간에 과전압을 가하는 시험으로서 120Hz이상의 고주파를 사용한다.
▲유도성(inductive)
전기 회로의 성질 판정에 유효한 말이며 만일 그 회로가 유도성인 경우는 지전류가 흐르고 용량성인 경우는 진전류가 흐른다고 간주되기 때문이다. 또는 공진 회로의 공진점이나 반공진점을 경계로 하여 일반적으로 그 회로의 리액턴스는 유도성에서 용량성으로 또는 용량성에서 유도성으로 전이하는 것이다.
▲유도성리액턴스(inductive reactance)
인덕터의 반기전력은 교류전류의 흐름을 방해한다. 실제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각각의 주파수에서의 전압에 비례한다고 알려져 있다. 저항이 없는 순수한 인덕터의 경우 오옴의 법칙과 같은 식이 있다. V=I X 여기서 X를 유도저항이라고 한다.
▲유전정접(tanδ)
흔히 tanδ라고 함. 유전정접은 유전체의 완전진상전류와 측정전류와의 위상차(δ)의 tan함수. 이상적인 유전체는 모두 커패시턴스 성분만을 가지게 되므로 δ는 90도가 될 것이고 따라서 tanδ는 무한히 큰 값이 나올 것임. 그런데, 유전체가 열화되면 저항성분이 나타나게 되고 δ는 90도보다 작은 값이 됨. (실제로 저항성분만 있다고 가정하면 δ는 0(ZERO)이 됩니다.) 시험은 tanδ METER로 하는데, 오실로스코프와 같은 장비로도 δ를 측정할 수 있을 것 같음.
▲유전체(dielectric)
도전율이 극히 적은 전기의 불량 도체를 일반적으로 유전체라고 한다. 따라서 변위 전류는 통하지만 도전 전류에 대해서는 높은 저항을 나타낸다. 마이카, 유리, 베이클라이트 등은 모두 유전체이며 특히 폴리스티렌이나 폴리세렌등은 초고주파 전류에 있어서도 역률이 적은 유전체로서 널리 쓰이고 있다. 절연체
▲유전체손(dielectric loss)
흡수현상을 수반하는 고체유전체에 교번전압을 인가하면 그 실효치와 동일한 직류전압을 인가할 때보다 큰 전력손실이 생기며 이것을 일반적으로 유전체손실이라 함. 이 유전체손은 쌍극자전도에 의한 흡수전류로 인한 것이며 따라서 흡수전류가 크면 유전체손도 커짐.
▲이득(gain)
증폭기, 수신기, 공중선등에서 입력의 전압 또는 전력에 대하여 출력의 전압 또는 전력의 비를 이득이라고 한다. 공중선의 경우는 표준 더블렛 공중선에 대해서 얼마나 감도가 커지는가를 나타내는 값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이 이득은 데시벨 기호로 나타내고 있다.
▲인덕턴스(inductance)
자기 인덕턴스 및 상호 인덕턴스의 총칭, 그 단위는 헨리로 표시된다. 자기 인덕턴스; 상호 인덕턴스
▲임계 저항(critical resistance)
직류분권 발전기의 계자 회로의 저항이 어떤 값 이하가 아니면 전압의 확립은 일어나지 않는다. 이 한계의 저항을 말한다. 또 직권 발전기의 경우에는 부하 회로의 저항에 대해서도 같다.
▲임계 전압(critical voltage)
피뢰기나 정류기처럼 어떤 규정 전압에서 갑자기 방전이 시작되어 동작할 경우 그 동작 개시 전압을 입계 전압이라고 한다.
▲임계 주파수(critical freqyency)
1. 지구 표면에서 연직 상쪽으로 전파를 내면서 주파수를 높여가면 주파수가 낮은 동안은 E층으로부터 반사하여 되돌아 오지만 [단, 너무 주파수가 낮으면(㎒이하)도중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반사파를 인정하지 못하게 된다] 주파수가 어떤 값을 초과하면 전파는 E층을 뚫고 나간다. 이 경계선이 되는 주파수를 E층의 임계 주파수 또 이에 해당하는 파장을 E층의 임계 파장이라 한다. 마찬가지로 F층, F1층,F2층에도 각각 임계 주파수가 존재한다. 2. 도파관은 그 단면의 크기 및 형태에 따른 어떤 주파수 이상에서는 전자파를 극히 적은 손실로 전송하며 이 이하에서는 큰 감쇠를 일으키게 된다. 이것을 차단(cut-off) 이라고 하며 이 때의 주파수를 임계 주파수, 또 이 때의 파장을 임계 파장이라고 한다.
▲임계 초과(supercritical)
증배율이 1이상이고 반응 비율이 상승하는 상태를 말한다.
▲임계전류(critical current)
외부자계가 존재하지 않는 특정온도 상태에서 초전도 물질이 정상적 상태로부터 초전도 성질을 갖게 될 때 흐르는 전류.
▼ ㅈ
▲ top
▲자기유도(magnetic induction, B)
외부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자화 정도에 대한 척도.
▲자기장의 세기(magnetic field strength, H)
외부 자기장의 세기에 대한 척도.
▲자동 위상 제어((APC)automatic phase control)
자동적으로 위상을 제어하는 회로.
▲자동 이득 조절(automatic gain control)
저주파, 중간주파. 고주파 등의 증폭기에서 그 증폭도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그 출력 전압의 일부를 초단의 증폭용 진공관의 그리드 바이어스 전압으로 궤환 시켜야 한다. 영국에서는 AVC의 의미로 쓰이고 있다. 자동 이득 제어
▲자동 전압 조정기(automatic voltage regulator)
부하 속도 등의 변동에 의한 발전기 단자 전압의 변동을 자동적으로 보상하여 정밀하고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 구비해야 할 요건은 전압 변동에 감도좋게 응동할 것, 제어 속도가 클 것, 난조 방지가 완전할 것, 제어 범위가 넓어야 할 것 등이다. 진동형, 저항기형, 무접점형으로 대별된다. AVR이라고도 한다.
▲자동이득제어(自動 利得 制御)(automatic gain control)
① 이득을 입력, 그 밖의 지정된 파라미터의 함수로써 지정된 형태대로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동작, 또는 그 방법. ② 신호의 출력 특성 진폭을 입력에 대한 그 특성의 어떤 범위에 결쳐서 변화와 관계없이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자동 조작 또는 이와 같은 동작을 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자동전압조정기(automatic voltage regulator, AVR)
자동전압조정기(AVR : automatic voltage regulator)는 교류전압의 불규칙한 전압변동을 자동적으로 조정하여 일정한 전압을 부하에 공급하게하여 전산기기 및 주변장치의 효율적인 운영과 신뢰할 수 있는 동작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장치로서 부하속도 등의 변동에 의한 발전기 단자 전압의 변동을 자동적으로 보상하여 정밀하고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입니다. 구비해야 할 요건은 전압 변동에 감도 좋게 응동할 것, 제어 속도가 클 것, 난조 방지가 완전할 것, 제어 범위가 넓어야 할 것 등이다. 진동형, 저항기형, 무접점형으로 대별됩니다.
※참고자료 [개요 및 종류]
1.개요 : 자동전압조정기(Automatic Voltage Regulator)는 입력전압 변동시에 자동적으로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부하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는 장비이다. 주로 입력전압이 불안정한 경우 변동이 없는 전원을 사용하고자 할 때 설치하며 정전보상은 되지 않는다.
2.종류 : 자동으로 전압을 조정하는 조정기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중요한 종류만 열거해 본다.
1) 기계적인 동작으로 전압을 조정하는 방식: 전압변동에 대한 응답속도가 늦어 일반 컴퓨터등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는 방식이다.
- 유도전압 조정기(Induction Voltage Regulator) I.V.R 이라고 하며 내부 모타에 의해 전압을 가변하는 방식이다.
- 스라이닥 전압 조정기(Slidac Voltage Regulator) S.V.R 이라고 하며 스라이닥의 변압기를 회전시켜 전압을 가변하는 방식이다.
2) 반도체 및 리액터를 이용하여 전압을 조정하는 방식
- 리액터 방식 : 리액터의 리액턴스를 변화하여 전압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단권 변압기의 권선비를 이용하여 강압하거나 승압하여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조정하는 방식이다.
- SCR (병렬,승압) 제어 방식: SCR의 위상제어를 이용하여 단권변압기의 리액턴스를 변화시켜 출력전압을 조정하는 방식이다.
- 철 공진 방식 : 병렬로 연결한 리액터와 공진용 캐패시터를 이용한 것으로 리액터의 공진전류 위상에 의해 입력전압 변화에 대하여 자동으로 승압효과 및 강압효과를 발생시켜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식이다.
- TAP Changing 방식 : TCR 방식이라고 하며 현재 가장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자속(magnetic flux)
자기장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자기력성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학습하였다. 이 방법은 +m[Wb]의 자극에서 공기 중에서는 (m/μ。)개의 자기력이 나오고, 일반적으로 비투자율이 (μR)인 매질 중에서는(N。=m/μ。*μR)개의 자기력선이 나오게 되므로, 1개의 자극에서 나오는 자기력선의 수는 자극의 위치와 주변 매질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은 불편을 없애기 위해 자극이 어떤 매질 중에 있더라도+m[Wb]의 자극에서는 언제나 m개의 자기력선이 나온다고 가정하여, 이 선에 의해서 자기장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자기력선을 자속 (magnetic flux, 기호 Φ; phi)이라 하고 단위로는 자극의 세기와 같은 단위인 [Wb]를 사용한다
▲자속 밀도(magnetic flux density)
자기장의 크기를 표시하기 위하여 자력선의 밀도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자속의 밀도로서 자기장의 크기를 표시하는 방법이 있다. 자속으로서 자기장의 크기 및 철의 내부 자기적인 상태를 표하기 위하여 자속의 방향에 수직인 단위 면적1[m²]를 통과하는 자속 수를 취한다.
이것을 그 점에서의 자속 밀도(magnetic flux density, 기호 B)라 한다.
단면적[m²] 를 자속Φ[Wb]가 통과하는 경우의 자속 밀도B는
B=Φ/A [Wb/m²]
단위 : [Wb/m²]또는 테슬라(tesla,[T])
▲자화(magnetization)
자성체가 자기를 띤 상태가 되는 것. 상자성체나 반자성체를 자장내에 두면 자화된다.
▲자화 곡선(magnetization curve)
자기장 H[A/m]에 대해 철심 중의 자속 밀도 B[Wb/m2]이 변화되는 상태. 즉 B-H 곡선을 말합니다.
▲자화 전류(magnetizing current)
유도 전동기 또는 변압기에서 소요의 자석이 발생함으로써 권선에 흐르는 전류를 말한다.
▲자화력(magnetizing force)
물체를 자화하는 자계의 세기이며 보통 H로 표시된다.
▲자화선(line of magnetization)
자성체가 자화되고 있을 때 자속선 밀도에 해당하는 선이 그 내부에 같은 밀도로 연속되고 있다고 간주하여 그 가상의 폐선을 자화선 이라고 한다.
▲자화율(χ, Magnetic Susceptibility)
1.자화율이란 자화강도(M)와 외부 자장강도(H)의 비례이다.
χ(chi, 발음 keye) = M/H
2.물질은 외부자장(H)에 의해 자화되는데, 물질마다 자성이 같지 않아 자화되는 정도도 같지 않다. 예로써, 상자성물질의 자화율은 χ > 0 이고 반자성물질의 자화율은 χ < 0 이다. 강자성물질의 자화율(χ)은 외부자장(H)의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자화의 사이클(cycle of magnetization)
자성체를 자화하는데 있어서 최초 자계의 세기를 증가해 나가면 자속 밀도는 어떤 곡선에 따라 증가하고 어떤 A점에 달한다. 다음에 자계의 세기를 점차 감소시키면서 0을 거쳐서 반대 방향으로 자계를 강하게 해나가면 어느 B점에 달한다. 다음에 자계를 줄여서 0을 거쳐 정방향으로 증가하면 1순환하여 A점에 돌아온다. 이것이 자화의 사이클이다.
▲자화의 세기(intensity of magnetization)
강자성체 내에서 자계의 방향으로 전향한 단위자석의 자속 밀도를 나타낸 것.
▲잔류 용량(residual capacity)
될 수 있는 한 정전 용량을 갖지 않도록 연구해서 감은 저항기 또는 인덕턴스에 남아 있는 정전 용량.
▲잔류 자기(remanence; residual magnetism)
자성체에 자계를 가해서 자화시킨 후 자계를 제거하여도 자화는 완전히 소멸되지 않고 어느 정도 남아 있다. 이 남아 있는 자화에 의한 자기를 잔류 자기라 한다.히스테리시스 현상에 기인한다. 영구 자석은 잔류 자기를 이용한 자석이다.
▲잔류 전압(residual voltage)
전기기기에 있어서 철 회로의 잔류 자기로 인하여 발생하는 전압을 말한다.
▲잔류 전하(residual electric charge)
유전체는 전계를 인가하면 분극이 생겨 분극 전하가 발생하며 인가전계를 제거하여도 모든 분극 전하가 소멸되지 않고 얼마간 남는다. 이 남는 전하를 잔류 전하라 한다.
▲저주파(low frequency)
고주파에 대하여 낮은 주파수를 일반적으로 저주파라한다. 전력(예컨대 전기로)에서는 상용 주파수를 저주파라 하고 통신부문에서는 가청 주파수를 저주파라 하는 경우가 많다.
▲저항(resistance, R)
외부 전기장에 따른 전기 전하의 이동을 저항 또는 방해하는 재료의 외인성 특성. R=ρ(L/A)로 정의된다.
▲저항-온도특성(zero-power temperrature resistance characteristic)
thermistor 자체에 주어지는 온도와 thermistor의 무부하 저항치와의 관계. 이 특성은 근사적으로 다음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R@T = R=Ro exp β(1/T - 1/To)
R@T : 절대온도 T(K)에서의 저항값,
R@To : 절대온도 To(K)에서의 저항값,
β : thermistor의 B정수,
T1, To : 절대온도(K = ℃ + 273.15)
▲전계(electric field)
대전체가 존재하는 공간 각 점의 전기적 상태를 나타내는 양을 말한다. 즉 공간의 각 점에 정지하는 단위 전하에 작용하는 힘이라고 정의되며 전계 E라는 장소에 놓여진 정지 전하 e에 작용하는 힘은 eE가 된다. 그러므로 정전계에서는 정전 포텐셜을 Φ라고 하면 E = -gradΦ 가 되어 쿨롱의 법칙에 따르는 힘의 계가 된다. 또 전자계에서는 스칼라 포텐셜 Φ와 벡터 포텐셜 A에서 E = -gradΦ-δA/δt 로 유도된다. 전계의 세기는 MKS 단위 V/m로 나타낸다.
▲전계강도(field strength)
전계 강도 및 자계 강도 또는 그 어느 쪽일 때에도 쓰는 말인데 실제에는 전계만을 생각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최근 intensity 라는 낱말을 전력 크기의 뜻으로 쓰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strength와 혼돈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전계의세기(intensity of electric field)
intensity of electric field
electric field intensity
electrice field strength
(1) 정지한 단위 전하에 작용하는 전기력을 말한다. 단위는 V/m으로 나타낸다.
(2) 전계의 크기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또 strength 라는 말은 전력의 크기를 뜻하는 데 쓰이는 일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intensity 의 뜻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를 요한다.
(3) 고찰점에 있어서의 전파의 세기를 가리키기도 한다.
전기과도현상(electric transient) : 외란을 받는 전기회로 내의 전류나 전압의 순간적인 변화 현상.
▲전류-전압특성(static volyage-current characteristic)
임의의 규정온도에서 thermistor의 전류-전압 사이의 관계. 매우 적은 전류범위에서는 thermistor의 자기발열이 작으므로 전압이 전류에 비례하여 OHM의 법칙을 따라 직선적으로 나타난다. (E = IR) 그러나 전류가 증가하게 되면 thermistor의 자기발열 현상이 발생하여 thermistor의 온도를 상승시키므로 결국 thermistor의 저항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특정 전류에서 전압이 최대값을 갖고 더 이상의 전류가 증가 하더라고 전압은 실제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한다.즉 dE/dl가 계속적으로 감소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전류-시간특성(current-time characteristic)
저항의 감소는 thermistor가 자기발열 될 정도의 충분한 전류가 가해져도 즉시 감소되지 않으며 thermistor가 등가회로상에서 여기(excitation)될때 평형 작동상태에 도달 하기전 time delay(시간지연)가 발생하게 되는 특성전류-시간 특성이라 한다.이러한 특성은 thermistor의 열방산, 열용량과 회로구성에 의존한다.
▲전류밀도(current density)
도체를 흐르는 전류 I를 그 유선에 직각 방향의 단면적 S로 나눈 I/S를 전류 밀도라고 한다. 따라서 그 단위는 [A/㎡]로 나타내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